우리 아마추어 골퍼들의 한 라운드당 많이 쓰는 클럽을 꼽자면, 퍼터(최소 36번) > 드라이버(최소 14번) > 웻지(50, 54, 58 각각 4~6번씩, 최소 13번, 아마추어골퍼 온그린 확률 20%대 적용) 정도가 아닐까 싶습니다. 이 정도 숫자로 보면 극상 난이도인 드라이버 보다 퍼터나 웻지류 연습을 많이 하면 더 좋은 라운드 스코어를 기록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이번 글은 3대 클럽 사용빈도를 가지는 웻지로 20미터 이내의 숏 어프로치를 잘 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여러분의 손에 뭉쳐진 종이로 된 휴지가 있고 위와 같은 휴지통이 약 4.3m 떨어져 있을 때, 그 휴지를 휴지통안에 던져 넣는다고 생각을 해보시죠.그러면 던지는 방법은 대략 야구 선수들 처럼 손을 들어서 뻗을 수도 있고, 소..
골프 라운드를 할 때, 어느 클럽이나 다 중요한 1타이지만 프로골퍼랑 달리 온그린 확률이 낮은 아마추어 골퍼들에게는 어프로치가 가장 중요한 클럽이 아닐까라고 생각합니다. 어프로치 잘 하는 방법은 거의 모든 골퍼는 알고 계실 거라고 생각을 합니다. 뭐 대략 볼을 오른발쪽에 높고, 6(왼발):4(오른발) 의 체중 분배를 하고 왼발을 살짝 뒤로 빼면서 앞코를 열고, 핸드퍼스트로 어깨의 회전으로 샷을 한다~ 인데 앞으로 딱 한개만 더 추가해 보시기 바랍니다. 위의 임희정 프로골퍼 처럼 그립을 내려 잡으면 됩니다. 그립을 내려 잡게 되면 1. 콘트롤 능력이 향상됩니다. 2. 볼 컨택을 할 때, 잔디가 잡아채도 그 힘을 이겨낼 수 있습니다. 3. 거리 조절이 잘 됩니다.
'드라이버는 쇼고, 퍼터는 돈'이라는 격언 아닌 격언이 골프계에 있습니다. 그런데 말입니다~ 프로골퍼들이 세컨 및 서드샷 온그린 확률이 대략 70%대이고, 아마추어 골퍼의 온그린 확률은 약 30%입니다. 이 말은 프로골퍼는 18*70%=12.6회의 온그린 및 5.4회 그린 미스를 한다는 뜻이고, 아마추어 골퍼는 5.4회의 온그린 및 12.6회의 미스를 온그린 미스를 한다는 의미입니다. 이 확률에서 도출 할 수 있는 결론은 퍼터는 돈보다는 설겆이샷(어프로치샷)이 돈이다로 바꿔야 할 거 같습니다. 대략 20~30m의 짧은 어프로치만 도통해도 온그린에 실수한 샷을 살릴 수 있다는 것이지요. 그럼 숏 어프로치 샷을 잘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네. 팔목을 고정시키고, 각 클럽별 캐리 거리와 런 거리를 ..
골프 구력이 오래 될 수록 긴 클럽보다 짧은 클럽 특히나 온 그린 확률이 떨어지는 우리 아마추어 골퍼로써는 어프로치 샷의 중요성을 깨닫게 됩니다. 가끔 인도어 연습장에 가보면 한 시간동안 어프로치 샷만 연습하고 가시는 분들도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어프로치 샷을 잘 할 수 있는 방법을 몇 가지 알려 드릴테니 본인에게 맞는 것을 취사 선택해서 꼭 골프 스코어를 줄여 보시기 바랍니다. 0. 양손 엄지와 검지에 힘을 100% 일반 풀스윙과 달리 양손의 엄지와 검지에 힘을 100% 주면 손목이 팔뚝과 '一字'로 펴지면서 어깨의 회전과 팔의 회전량이 동일해 져서 일관된 어프로치 샷을 할 수 있습니다. 1. 그립을 짧게 잡습니다. 초장에 제가 나와서 미안합니다만, 평소보다 그립을 내려 잡아 보시기 바랍..
골프구력이 늘어갈수록 더욱 더 치중하는 클럽이 아마도 웻지나 퍼터가 아닐까 싶습니다. 그 중에서 어프로치에 대해 말을 하고자 하는데요. 띄우던 굴리던지간에 어프로치시 중요한 점을 나열하자면 많겠지만, 딱 한 가지만 말씀 드리겠습니다. 너무 간단해서 안 믿길 수도 있습니다만, 어프로치 잘하는 방법은 '그립을 짧게 잡는다.'입니다. 비단 짧게 잡는 다는 것은 어프로치 뿐만 아니라 모든 상황에서 콘트롤을 좋게 해주는 원동력이 됩니다. 그립을 짧게 잡으면 분명히 비거리는 줄어 듭니다만 골프에서 가장 중요한 방향성이 좋아집니다. 비거리냐? 방향성이냐? 이것은 언제나 딜레마 이지만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기 보다는 두 가지의 요소가 모두 조화를 이루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그립을 내려 잡습니다. 그립..
저도 가끔 그러는데요. 에이프런 쪽에서 어프로치를 하다가 뒷땅을 치고 골프공의 대가리 부분만 쳐서 볼이 1m도 날아가지 않는 안타까운 때가 있습니다. 이럴 때는 드라이버 OB 난 것 보다 더 마음이 아프더군요. 너무 뻔한 이야기가 될 수도 있지만 짧은 어프로치 뒤땅 치지 않고 백전백승 하는 방법을 알려 드리겠습니다. 저는 위의 움짤과 같은 상황은 대략 4~5M 어프로치를 할 때 왕왕 생기더군요. 위의 움짤은 방송에서 슈퍼쥬니어라는 보이그룹의 이특의 어프로치샷 실수 장면입니다. 뒷땅에 의한 공 머리를 쳐서 원하는 거리에 한참 못 미치는 샷을 했는데요. 왜 이런 상황이 올까요? 볼의 위치가 잘못 됐을 수도 있지만 제일 중요한 것은 이특이라는 연예인이 초보자라 자신감도 없어서 백스윙보다 한 참 짧은(..
구력이 더해 지면 더해질 수록 드라이버나 낮은 숫자의 아이언샷도 중요하지만 짧은 클럽인 웻지류를 어떻게 다루냐에 따라 당일 라운드의 스코어가 어떻게 정해 지는지 알게 되는 거 같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20미터 이내의 캐리거리를 요하는 숏어프로치를 잘 하는 방법에 대해 적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그립을 내려 잡는다. 대원칙입니다. 평소에 클럽그립을 잡던 것은 잊으시고 최대한 내려 잡으시길 바랍니다. 어느 정도까지라고는 정확히 말은 못하겠습니다. 여러분이 편안하게 클럽을 휘두를 정도까지입니다. 한번에 되진 않으실 때니 평소 잡던 그립을 기준으로 대략 1cm씩 내려 잡아 보시기 바랍니다. [그립을 내려 잡을 수록 클럽 콘트롤 능력이 올라갑니다.] 그러면 정말 스윗스팟을 잘 공략하는 그립 길이가 나옵니..
어프로치 할 때, 잘 하는 방법을 몇 번 글로 쓴적이 있습니다. 1. 퍼팅그립으로 어프로치 2. 장갑 벗고 어프로치 3. 발을 11자로 만들고 클럽페이스도 스퀘어로 어프로치 4. 엄지 손가락에 100% 힘을 줘서 손목이 쫙 펴지도록 해서 어프로치 5. 9번 아이언으로 어프로치 6. 에이프런에 붙어 있는 곳에 볼이 있을 때는 퍼터를 핸드퍼스트로 찍어치는 퍼터 어프로치 7. 그립 내려잡고 어프로치 등등의 어프로치 관련 글을 썼는데요. 근본적인 것을 쓰지 않았던 거 같아서 이렇게 글을 씁니다. 여러분들은 약 80M내외의 풀스윙 거리가 나오는 52도 웻지가 있다면 풀스윙을 하지 않을 때 보폭은 어떻게 서십니까? 좀 더 세분화 해서 5M, 10M, 15M, 20M, 25M, 30M, 35M, 40M 거리의 어프로..
2018년도 KLPGA 시드권자 선수들의 온그린 확률은 평균 69.36%입니다. 18개 홀에서 12홀 반은 온그린 시킨 다는 의미인데요. 선수들도 매경기마다 5.5번의 어프로치를 해야 하는데요. 아마추어 골퍼의 온그린 확률은 공식 기록은 없지만 대략 30%대라고 들은 거 같습니다. 프로골퍼랑 정반대의 경우죠 5.5개 그린에 온그린 시키고 12홀 반은 어프로치를 해야 한다는 의미인데요. 퍼터 드라이버 다음에 많이 잡는 클럽이 어프로치용 웻지가 되겠네요. 이번 글에서는 어프로치를 많이 하는 우리 아마추어 골퍼들이 홀컵에 붙일 수 있는 방법들에 대해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1. 그립을 내려 잡습니다. 출처 : 마니아 리포트 TV 유튜브 채널 캡쳐 위의 사진은 '남달라 박성현 프로'의 어프로치 캡쳐 장면인데요..
2018년도 KLPGA 프로 골퍼들의 파온 확률은 1위 최혜진 프로의 81.2%를 필두로 하여 112명의 평균값은 69.36% 였습니다. 한 라운드당 18개 홀을 도니까 69.36%*18=약 12.5회는 온 그린을 시키고 나머지 5.5회는 온 그린을 시키지 못하니까 어프로치를 하게 되는데요. 우리 아마추어 골퍼는 공식 기록은 없지만 파온율은 아마 30~40% 사이가 아닐까 싶습니다. 12.8~10.8회를 사용하게 됩니다. 그러면 퍼터, 드라이버 다음으로 많이 잡는 클럽이 어프로치를 위한 웻지가 아닐까 싶은데요. 이번 글에서는 웻지로 어프로치를 잘 해서 파 세이브를 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1. 그린 주변에서의 어프로치를 할 때는 장갑을 벗는다. 우리가 퍼팅 때 장갑을 벗는 이유는 장갑..
우리 아마추어 골퍼들이 3~5년 차가 되면 직감하게 되는 것이 있습니다. 파3티샷이던, 파4~5의 세컨샷 및 서드샷이던간에 온 그린에 성공하지 못했을 때 필연적으로 해야 하는 웻지 샷(=어프로치 샷)을 잘 해야만 본인의 타수가 줄어 든다는 것을 말이죠. 그런데 말입니다. 그 짧은 샷이 왜 이리도 않되는지 모르겠어서 연습장에서 연습을 하고 또 해도 잘 되지 않습니다. 제가 볼 때 가장 큰 원인은 루키 때부터 슬라이스가 잘 나는 드라이버만 줘패서 그렇습니다. 그렇게 롱게임에 대한 연습을 많이 하면서 상대적으로 숏게임에 대한 대비가 소홀한 채로 3~5년이 흘러와 버리니까 중요성은 알고 짧은 거리라 쉬울 거 같은 어프로치 샷이 어려워 지는 것이 어쩌면 당연할 수도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어프로치 잘 하는 방법..
그린 주변에서 가능하면 퍼터를 사용하는 것이 홀컵에 붙이기에 유리 합니다. 그러나 항상 에이프런이나 에이프런에 붙은 러프쪽에 공이 가는 것이 아니라서 웻지로 어프로치를 해야 할 경우가 우리 아마추어 골퍼에게는 많습니다. 가끔 내 볼과 홀컴 중간에 벙커 등의 해저드가 있으면 난감할 때가 많습니다. 이럴 때 우리는 보통 호기롭게 58도 또는 60도 웻지를 꺼내들어 로브샷을 하는데 결론은 '쪼루'가 나서 볼이 약 20~30cm 전진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도 그럴 것이 위의 각도를 가진 웻지로 연습을 해봤어야지 말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웻지로 어프로치시 클럽 하나로 골프공을 굴리고, 띄운후 굴리고, 띄워서 세우는 방법을 알려 드리겠습니다. 몇 일전에 어프로치 할 때는 굳이 왼발을 오픈하지 말고 11자로 스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