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프로치를 하게 되면 누구라도 할 거 없이 왼발을 클럽 페이스가 오픈 된 만큼 열어 주고 발을 뒤로 뺍니다. 물론 공을 굴리기 위해서 볼은 오른발 엄지 발가락에 놓고 말이죠. 그런데 스윙을 하면 '잘 않맞으면 어떻해 하지?'라고 여기던 곳으로 볼이 날아가 버려서 다시 어프로치 샷을 하거나 깃대와 먼 거리에 볼이 있어서 3펏을 하는 경우도 왕왕 생기게 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어프로치에서의 행위에 대해 써보겠습니다. 이해 하시면 어프로치 샷이 좀 더 즐거워 지실 겁니다. 위의 움짤은 우리가 너무나 잘 아는 움짤입니다 . 위에 짤막하게 설명했는데 왼발을 뒤로 빼는 이유는 도대체 뭘까요? 왼발을 오픈하는 것은 웻지의 클럽페이스 오픈 정도를 맞춘다고 보고요, 왼발을 뒤로 빼는 것은 무슨 이유일까요? >> 발의 위..
우리가 골프를 시작하면서 똑딱이를 하고, 1/2 스윙을 하고, 3/4 스윙 > 풀스윙을 하다가 어느 순간에는 그린 주변 어프로치를 연습하게 되는데요. 그 때, 우리는 무엇에 홀린 것 처럼 왼발을 뒤로 빼고 오픈 시키고 웻지의 클럽페이스도 오픈을 시키고 연습을 하게 됩니다. 드라이버, 페어웨이 우드, 아이언 샷 보다 훨씬 쉬워야 할 웻지 샷이 이런 셋업으로 인해 더 어려워 집니다. 가끔은 아이언으로 홀컵에 붙이는 것 보다 어프로치 샷으로 거리감이나 방향성을 맞추기 어려워서 골프공을 홀컵에 붙이는 것이 훨씬 힘들 때도 있습니다. 왜? 위의 움짤[=움직이는 그림]처럼 왼발을 오픈 하고 어프로치를 해야 할까요? 클럽 페이스를 열고 어프로치를 해야 하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그러면 왜? 클럽페이스를 열어야 할까요?..
골프 라운드를 하면서 온그린에 실패해서 어프로치를 해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항상 우리는 굴리던, 띄우던 간에 골프공이 홀컵에 붙거나 홀인 되기를 간절히 희망합니다. 그러나 현실은 녹록치 않습니다. 방향이 맞으면 거리가 아슬아슬하게 짧아서 그린전 에이프런에 볼이 떨어지기도 하고 탑볼이 나와 그린을 시원하게 굴러가던 골프공이 그린을 벗어나 뒷쪽 벙커에 빠지는 경우도 왕왕 있습니다. 반면에 거리가 잘 맞아주면 방향이 틀어져서 50Cm 만 왼쪽으로 갔어도 OK받을 상황을 놓치는 경우도 있습니다. 과연 도대체 도대체 어떻게 해야 필드에서 어프로치가 잘될까요? '연구하는 자세로 끊임없는 연습과 잔디, 라이에 따른 상황별 샷을 익히면 된다~'고 하면 당연히 욕하실 거구요. 간단한 셋업의 변경만으로도 그린 주변 어..
골프 라운드를 하면서 모든 샷이 쉽지 않겠습니다만 그 중에서 특히나 어려운 상황이 그린 주변 어프로치 상황에서 왼발이 낮은 경사지에서의 샷이 아닌가 싶습니다. 아이언으로 세컨샷을 할 때는 차라리 풀스윙에 가깝게 치면 어느정도 뒷땅이 나더라도 볼만 맞추면 굴러서라도 거리가 나주는데, 왼발이 낮은 상황에서 짧은 거리의 어프로치 샷을 하다가 뒤땅을 치기라도 하면 백스윙이 작아서 밀고 나갈 힘도 없어서 가끔은 2~3M의 짧은 내리막 중간에 골프공이 걸치기도 합니다. 그러면 왜? 왼발이 낮은 경사에서 어프로치가 힘들까요? 1. 당연히 연습량이 적습니다. 2. 누가 정확하게 속 시원하게 알려 준적이 없습니다. 3. 찾아봐도 딱히 마음에 드는 방법이 없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저도 줏어 듣고, 경험으로 터득한 왼발내리..
예전에 제가 알고 있던 그린 주변에서 왼발이 살짝 심한 내리막 경사지에서의 어프로치 비법을 알려 드린 적이 있습니다. [ 왼발이 낮은 경사지에서의 짧은 어프로치 비법 - 이전글 ] 그런데 이 때는 아무리 자료를 찾아도 사진이나 동영상을 찾을 수 없어서 되도 않는 그림으로 설명을 드렸었는데요. 어제 유튜브에서 골프 레슨 영상의 바다를 항해 하다가 위의 상황에서 제가 썼던 글과 똑 같은 레슨을 발견했습니다. 업로드 날짜도 지난 주더군요~. JTBC골프에서 방영하는 '필드레슨포유(Field Lesson For You)'라는 프로그램에서 한설희 프로님이 일반인 레슨을 해주면서 위의 허접한 그림과 똑 같은 레슨을 하더라고요~. (역시 아마추어 레벨의 기술들은 프로골퍼들은 모두 섭렵하고 있는데, 잘 안알려 주는..
몇 년 전에 스카이 72 오션 코스에서 라운드를 한 적이 있습니다. 17번홀은 아래와 같이 생긱 파3의 홀이었고, 핀이 좌측에 있었습니다. 많은 사람들의 조언으로는 그린 중앙으로 볼을 떨구고 투 퍼팅을 성공 시켜서 파로 홀아웃 하는 게 정석 이겠지만, 오션 코스를 많이 오다보니 자신감도 있어서 핀을 바로 노렸지만 아쉽게도 그린 엣지 옆 1.5m 지점에 볼이 떨어 졌고, 핀까지 거리는 다행히 3m 정도 남았습니다. 그래서 나름대로 52도 웻지로 어프로치 하던 사람이 56도로 멀리 도망 가지 않는 어프로치로 파 세이브를 하려고 했습니다만, 결과는 뒷땅에 의한 철푸덕으로 볼이 30cm 날아가고 저에게 절망을 안겨 주더군요. 이런 느낌으로 평소 벙커샷에서만 쓰던 56도로 철푸덕을 한 후 정신 차리고 다시 평소 ..
골프를 시작 해서 누구나 동경하는 것은 군더더기 없이 깔끔한 프로 골퍼들의 이쁜 스윙이 아닐까 싶습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불가능 합니다. 왜냐하면 프로 골퍼들이 지금의 위치에 올 때까지 들인 시간의 차이와 골프 근육을 키우기 위해 해온 운동량과 흘린 땀방울의 양이 질적으로 다르기 때문입니다. 또한 부모님을 따라서 어렸을 때 부터 골프를 접하지 않은 이상 일반 아마추어 골퍼가 골프를 시작하는 시기도 빨라야 20대 후반 또는 30대 초반이고 보통은 30대 중반 이후나 40대에 골프를 시작한다 봐도 무방할 것입니다. 그래서 프로 골퍼의 스윙은 그림의 떡으로 남겨 놓고 본인의 근력과 유연성에 맞는 골프를 하자고 하면 너무 서글퍼 지겠죠. 모든 골프 샷을 프로 골퍼와 같이 좋은 폼으로 하기는 불가능 하지만 일..
어프로치를 잘 하기 위해서는 천연잔디 연습장에서 연습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언이나 우드샷은 보통 100%의 힘으로 풀 스윙을 하기 때문에 잔디의 저항을 무시할 정도는 없지만 영향을 덜 받고 샷을 할 수 있는 반면에 10M 이내의 아주 짧은 어프로치 샷은 볼과 리딩엣지의 임팩트 시작 전에 뒤땅 등의 영향으로 잔디를 먼저 리딩 엣지가 가격하면 약한 힘으로 하는 샷이기 때문에 거리의 손실 뿐만 아니라 잔디의 저항으로 클럽 헤드가 열려 맞아서 볼이 오른쪽으로 출발해서 홀에서 볼이 멀어지는 결과를 초래 합니다. [음. 2~3M 어프로치 샷 하다가 뒤땅으로 인해 볼이 40~50cm 나간 경험. 저만 해본 건 아니죠?] 지금까지 어프로치를 잘 하기 위한 드릴은 여러가지 설명을 드렸는데요. [맨 아래 링크 참조요..
골프, 설거지(=어프로치)라 시쳇말로 부르는 숏게임을 잘해야 된다는 것은 누구나 알고 있습니다. 숏게임의 중요성은 많이 듣고, 실제 라운드에서 많이 겪어서 잘 아실 거라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말입니다. 잘 해야는 것은 알지만 어떻게 해야 이 짧은 거리의 게임을 잘 이끌어 나갈지는 모른다는 것이 함정입니다. 그저 최선을 다하기에는 뭔가 부족합니다. 이런 말은 어느 정도 수준에 올라간 사람이 할 수 있는 말이라고 생각 하고요. 이번 글에서는 여러분이 접해 보지 않은 생소한 개념일지는 모르겠지만 저 나름대로 많은 라운드와 골프 연습을 하면서 숏게임을 잘 하는 방법을 생각 해 봤습니다. 읽어 보시고 좋아 보이면 한번 따라해 보세요. 개인적으로는 비약적인 숏게임 능력 향상을 가져 올거라 자신 합니다. 우선 아래의..
예전에 스카이 72 오션코스 17번홀 파3에서의 일입니다. 거리는 좋았는데 방향이 조금 맞지 않아서 좌측 그린으로 볼이 떨어졌는데, 핀이 좌측 핀이라 상대적으로 저의 입장에서는 앞핀의 상황이었습니다. 약 3m만 어프로치로 보내면 파세이브는 가능한 상황이라 평소 52도 웻지로 어프로치를 하는데 그날은 공을 멀리 도망보내지 않겠다는 의지로 56도 샌드웻지로 어프로치를 했습니다. 결과는 뒷땅에 의한 30cm 비거리로 막을 내리고, 평소대로 치던 52도로 홀컵에 붙여서 보기로 홀아웃을 한 경험이 있습니다. 드라이버 오비 나는 것 보다 이런 실수가 가끔은 더 뼈져리가 안타깝더군요. 지금에사 그때를 생각하면 56도 웻지를 잡는 순간부터 머리속에는 '아 이거 벙커샷만 했는데.', '연습도 거의 안했는데 잘 되려나?'..
우리가 해오던 것들을 약간만 다른 시점에서 보면 새로운 길이 열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골프에서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하고요. 이번글에서는 숏게임에 있어서 생각전환 및 버릴 것은 버리면 좋은 게임 운용이 되는 몇가지를 알려 드리겠습니다. 최근 들어서 숏게임시 하는 셋업자세가 어쩌면 크게 불필요한 동작이 아닌가 싶은 생각이 듭니다. 1. 편한 자세로 어프로치 20M 이내의 짧은 어프로치 샷을 할 때 우리가 하는 공통된 행동이 있습니다. 볼은 오른발 엄지 발가락 쯤에 놓고, 보폭은 줄입니다. 그리고 백스핀을 많이 주기 위해 왼발을 오픈하고, 왼발의 오픈정도와 동일하게 클럽헤드를 오픈한 후에 왼발에 체중의 60%를 싣고 샷을 합니다. 이런 일반적으로 아는 어프로치 동작에서 발생하는 큰 문제점은 왼발과 클럽의 오픈의..
보통 프로골퍼들의 그린적중률은 70% 초반대라고 합니다. 2016년 투어 기준으로 KPGA 적중률 1위는 전윤철 프로가 79.4%이고, KLPGA 적중률 1위는 이정은 프로가 78.4%입니다. 프로골퍼들은 리커버리를 위한 어프로치를 한라운드 평균 5번 정도 합니다. 그러면 아마추어는 어떨까요? 공식 통계가 없는 거 같아서 저의 골프존 기록을 살펴보겠습니다. 저의 스크린골프에서 나타난 그린적중률은 41.11%입니다. 제 기록으로 아마추어 골퍼의 평균 그린 적중률을 논하는 것은 무리가 있겠지만 그래도 평균이라고 가정하면 10.8회 반올림해서 11번을 어프로치를 해야 합니다. 퍼터를 제외한 단일클럽에서는 드라이버 다음으로 사용률이 2번째인 클럽이 어프로치용 웻지가 되겠습니다. 우스게 소리로 '설거지(=숏게임)..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