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단 골프장에서 환복하고 연습 그린으로 나오시면 아래와 같이 그린 스피드(=그린 속도)라고 적혀 있는 표지판을 많이 보셨을 겁니다. 어느 골프장을 가면 2.5, 어떤 골프장을 가면 아래 사진처럼 2.8, 어떤 골프장은 2.7 이라고 다르게 적혀 있는데요. 이 그린 스피드를 이해하여 거리감을 잘 조절해서 퍼팅 도사가 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우리가 보게 되는 그린 스피드는 그린 키퍼라고 하는 골프장의 그린 관리인이 오픈전에 그린의 스피드를 조절합니다. 이 때 그린의 빠르기를 재는 도구를 스팀프 미터라고 하는데요. 우리가 쓸 일은 없으니 어떤 기능을 하는지만 아래 움짤을 보고 이해를 하시면 되겠습니다. v자 홈이난 스팀프 미터의 76cm 지점에 구멍이 있고 그 위에 공을 올려 놓은 후에 ..
아마추어 골퍼가 프로 골퍼와 싱크로율 99.9%로 다룰 수 있는 유일한 클럽이 있습니다. 바로 퍼터이지요. 그러나 연습도 등한 시 하고, 실제 라운드 가서도 밥은 먹어도 연습그린에서 퍼터를 굴리지 않느 분들도 많습니다. 물론 기본은 다 아시리라고 생각합니다. 이번 글에서 퍼터의 깨달음을 얻고 퍼팅 신은 아니어도 퍼팅 도사가 되보시기 바랍니다. 예전에 NH투자증권 KLPGA 투어 갤러리 가서 퍼팅장 구경을 하면서 영상을 찍은 적이 있습니다. 그 때 찍은 영상에서 잘라서 움짤을 만들어 봤습니다. 너무 일부분만 움짤로 만들어서 화질이 고르지는 않지만 제가 이야기 하려는 것은 잘 보실 수 있습니다. 천천히 스트로크 3번 정도 왕복 되는 걸 먼저 봐주세요. 힙과 무릎 주위를 자세히 보시면 좋겠습니다. 자~ ..
얼마전에 KLPGA 프로골퍼들의 상금 및 몇가지 스윙데이터를 정리해 봤는데, 파3 티샷 또는 파4, 파5의 세컨. 서드샷 온그린 확률이 대략 68%, 평균 퍼팅 갯수가 30.6개였습니다. 즉, 스트로크 플레이 기준 36번의 퍼팅 횟수보다 5.4개 퍼팅을 덜한다 는 뜻이고요. 비온그린 확률 32% * 18 = 5.76번의 어프로치를 기가 막히게 한다 는 뜻이기도 하다. 웻지로 어프로치를 하던지 아이언으로 온그린을 하던지 5.4번은 1펏으로 마무리 한다는 것인데요 . 라이 상태에 따라 달라지는 아이언과 웻지 샷은 끊임 없는 라운드로 상황에 맞게 계속 발전을 시켜 나가야 하고, 우리 아마추어 골퍼가 유일하게 프로 골퍼와 싱크로율 99%의 퍼포먼스를 낼 수 있는 클럽인 퍼터 연습을 열심히 하여야만 내기에서 ..
정규홀 18홀을 돌면 규정된 타스 72개 중에서 36번의 퍼팅을 하게 골프장이 설계가 되어 있습니다. (물론 이는 프로골퍼 또는 싱글 핸디캐퍼들의 경우이고 보통 보기 플레이어라면 40번 정도 퍼팅을 하게 됩니다.) 저의 경우를 돌이켜 보면 초창기 연습은 잘 안되는 드라이버만 주구장창 치다가 어쩌다 생각나면 인도어 연습장 옥상에 가서 퍼터로 공 20개 정도 굴리다가 내려왔던 기억이 납니다. 이번 글에서는 퍼팅의 달인(=퍼신)이 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위의 움짤(=움직이는 사진)은 예전에 구 스카이72 (현 클럽72) 오션코스에서 쌍버디 할 때 입니다. 프로선수도 아닌데 저의 비루한 몸 움짤을 올리는 이유는 퍼팅을 잘하기 위한 제가 아는 모든 것이 들어 있기 때문입니다. 퍼팅의 기본은 ..
만약에 아래와 같이 세컨샷으로 친 공이 그린 가장자리에서 가까운 에이프런옆 러프에 떨어져 있고, 컵홀이 2M 이내에 있는 경우가 가끔 있을 때 난처한 경험이 있으실 겁니다. 웻지로 어프로치 샷을 쳤는데 힘을 너무 살살 주려다가 실수로 러프의 잔디를 먼저 쳐서 20~30Cm만 볼이 간다던가 하는 상황(철푸덕 - 이 전 있었습니다.) 말이죠. 위의 사진과 같은 상황을 쉽게 타계할 방법이 있습니다. 그건 바로 퍼터를 사용 하는 것인데요. 물론 글을 읽은 아마츄어 골퍼분들도 그렇게 생각하고, 퍼터를 사용해 왔을수도 있는데, 여기서 또 문제는 러프에서 굴리면 당연히 잔디의 영향으로 힘조절이 어려우셨을 겁니다. 에이프런 옆 러프에서 이런 상황에서 퍼터를 칠 때, 평상 시 셋업보다 핸드퍼스트로 평상시 보다 ..
골프 라운드 횟수가 쌓이면서 구력이 오래 되면 자연스럽게 롱클럽보다는 설겆이용 숏클럽(=웻지 및 퍼터)이 타수를 줄이는데 더 큰 역할을 한다는 것을 느끼게 됩니다. 그런데 말입니다. 구력이 얼마 되지 않을 때는 드라이버의 슬라이스, 훅성 구질 또는 비거리를 위해 롱클럽만 줘 패다가 짧은 클럽 친구들하고 친해 지려고 하니 쉽지 않습니다만 지금까지 해온 드라이버나 아이언에 투자한 시간의 20~30%만 시간을 투자 하면 잘 칠 수 있습니다. 이제 부터라도 설겆이용 클럽에 애착을 가지시면 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설겆이용 클럽 중에서 퍼팅의 달인이 될 수 있는 방법을 알아 보겠습니다. 14개의 클럽 중에서 프로 골퍼와 거의 똑같이 다룰 수 있는 것이 퍼터입니다. 조금만 시간을 들여서 따라와 주세요. 일단 ..
과연 어떤 퍼터가 나에게 좋을까요? 세계 3대 퍼터라 불리는 스카티카메론, 베티나르디, 티피밀스에서 출시되는 퍼터가 이름값대로 1,2,3등으로 좋을까요? 그렇다고 긍정하기에는 최연소로 미 LPGA 명예의 전당에 입당한 박인비 프로는 2010년 한해 동안 총 11번의 우승 중에서 10승을 오딧세이 퍼터로 챙겼습니다. 3대 퍼터라 불리는 퍼터들이 세계에서 제일 좋은 것들이라면 박인비 프로가 썼다면 11승 이상을 했을까요? (물론 그랬을 수도 있습니다. 프로 골퍼들은 후원사의 장비를 쓰는 것이 관례이니 그저 스윙이 좋으면 퍼터는 잘 된다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꼭 그렇지는 않을 거라 봅니다. 만약에 그런 인기도 순위로 장비가 좋다면 굳이 프로 골퍼 들이 후원사에서 공짜로 준다고 해서 장비를 무조건 쓰진 않을..
골프 잘 치고 싶어서 JTBC골프의 이지연 프로님에게 레슨을 받다가 어느 날, 스카이72 드림골프레인지 야외 '숏게임 레슨'을 받다가 청천벽력 같은 소리를 들었습니다. '순록 회원님. 퍼팅이 잘 안되는 이유가요. 기술적인 것보다 하체가 흔들려서 그래요. 하체를 단단히 잡아 놓고 연습을 해야 겠어요.'라고 선생님이 말씀을 하시는 겁니다. 스트로크의 궤도, 힘 조절, 볼 위에 왼쪽 눈 놓기, 좋은 퍼터 사기(오디세 > 스카티카메론 > 베티나르디 > 티피밀스 순으로 퍼터를 바꾸었고요.), 타이틀리스트 퍼포먼스센터에서는 20여만원을 주고 퍼터 피팅도 받아서 저의 어드레스 허리 각도에 맞게 샤프트의 라이각도 조절 했습니다. 한 때는 제 방안에 1M 쇠자를 놓고 퍼팅 연습을 하다가 '어머니'께 꼴푸에 美친..
여러분 모든 클럽에는 로프트 각도라는 것이 있습니다. 페이스 면이 지면으로 몇 도가 기울어 지는 것인지 나타내는 값인데요. 드라이버는 8~14도, 페어웨이우드는 13~21도, 아이언 7번은 35도, 웻지류는 48~62도 정도의 로프트 각도를 가집니다. 짧은 클럽일 수록 로프트 각도가 커지는 이유는 스핀을 많이 주기 위함이고요. 긴클럽의 로프트 각도가 낮은 각을 이루는 이유는 반대로 스핀량을 줄이기 위함입니다. 그러면 말입니다. 퍼터의 로프트 각도는 몇 도일까요? ㅎㅎ. 제조사마다 다르지만 대략 3º 정도의 로프트 각을 같습니다. 그럼 퍼터의 로프트 각도를 이야기 해 드리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다른 클럽들 처럼 스핀을 많이 먹이고 적게 먹이려는 건 아닐텐데 말이죠. 퍼터는 다른 클럽과 반대로 백스핀이 아닌..
안녕하세요. 싱글로골프 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퍼팅을 잘하는 방법을 써볼까 합니다. 우리 아마추어 골퍼들의 바램은 언제나 좋은 스코어를 내고 싶으나 잘 안됩니다. 이유야 여러가지가 있겠습니다만 가장 큰 스코어 저해 요소는 적은 연습량, 시간이 모자라 몸의 근력을 키우기 어려움, 라운드마다 항상 바뀌는 잔디의 길이 촘촘함 라이의 좋고 나쁨 등이 있습니다. 그런데 제가 가장 주목하는 점은 연습의 비효율성이 아닌가 싶습니다. 우리가 고등학교 및 대학 때는 단위 수라는 가중치의 개념이 있어서 좋은 점수를 받으려면 1주일에 제일 많이 배우는 국어, 영어, 수학 위주의 상위 스킬을 잘 익혀서 점수를 잘 받아야 좋은 등수를 받을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그 이전 학년인 초등학교, 중학교 때는 과목의 단위수가 없었죠. ..
골프 뿐만 아니고 그 외의 것들을 잘함에 있어서 시간과 노력이 분명히 많이 필요합니다. 그러나 모든 것에는 내가 겪어보지 못할 때는 어렵지만 알고 나면 쉬운 것들이 분명 있고, 퍼팅을 잘하는 것에 있어서도 분명 꼼수 아닌 꼼수가 있다고 봅니다. 밑에는 지극히 주관적인 저의 의견입니다. 따라해 보시고 잘 안되시면 덧글로 욕 한번 하고 하시던 대로 퍼팅 하시면 되겠습니다. 자 그럼 각설하고 제가 아는 퍼팅 노하우를 적어 보겠습니다. 첫째. 그립은 짧게 잡는다. 여성분들의 퍼터의 길이는 잘 모르겠지만 동반자들의 퍼터 길이를 보면 34"가 대부분의 샤프트 길이입니다. 자신에게 맞는 퍼터의 길이 재는 공식이 있는데 설명하면 너무 길어지니까 핵심을 말씀 드리면 180cm 부근의 키가 아니시라면 34"는 콘..
퍼터를 잘 하기 위한 방법들은 아주 많습니다. 인터넷에만 쳐봐도 1,000개가 넘는 글이 나옵니다. 퍼터를 잘 하기 위한 방법을 간략히 적고 가겠습니다. 1. 몸이 경직되지 않게 편안한 자세를 취한다. 2. 볼은 왼쪽눈 밑에 둔다 3. 팔목을 쓰지 않는다. 4. 겨드랑이를 조인다. 5. 임팩트 전 30cm와 임팩트 후 30cm는 직선으로 치도록 한다. 6. 볼이 홀컵에 떨어지는 것을 고개를 돌려 보지 말고 귀로 듣는다. 뭐 이 정도 되겠습니다. 그런데 중요한 것은 대전제인 첫 번째 편안한 어드레스부터 틀렸습니다. 우선 왜 그런지는 아래 움짤들을 보면서 설명 하겠습니다. 구력 만으로 9개월차 때, 회사 상사들과 갔던 포레스트힐 CC에서의 퍼팅입니다. 제 오른발부터 골반까지 빨간 선을 그었는데 백스트로크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