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전에 인스타그램에서 너무 좋은 골프 드릴 영상을 봐서 소개 하고자 합니다. 인스타그램 주소는 우측 링크 https://www.instagram.com/marina.kajiyama56/ 내가 설명을 할 필요가 없을 정도로 다운 스윙의 개념을 너무 잘 보여 주고 있습니다. 1. 문쪽에서 엉덩이를 벽에 살짝 붙이고 어드레스 후2. 백스윙탑을 만들 때, 손이 벽에 닿게 합니다. 3. 힙을 밀면 자연스럽게 팔이 따라 내려 오는데, 이 때 본인의 의지로 왼팔이 지면과 평행이 될 때까지 손은 벽에 붙어 내려오게 합니다.(팔을 내리거나 어깨를 돌리는 것이 아닙니다. 끌려 내려오고, 돌려 지는 것입니다.)4. 힙슬라이딩이 끝나면 곧 바로 힙턴을 하면서 오른팔을 펴 줍니다. 그러면 프로골퍼 스윙을 볼 때 처럼 골프 ..
골프를 치다 보면 가끔 미디어 레스너들이 '지면반력을 이용하세요.', '지구의 힘을 빌려서 볼을 치세요.', '앉는 느낌으로 스윙 하세요.' 등의 말을 하는데요. 이것은 스윙시 발바닥으로 땅을 누르는 힘의 반대힘을 일으켜서(뉴턴의 운동 제 3법칙 - 작용과 반작용의 법칙) 좀 더 골프공이 멀리 날아가는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만, 알 길이 없습니다. 밟는다고 밟아 보지만 이게 맞나 싶기도 하고요. 아래의 KLPGA 2018년도 최 장타자인 김아림 프로의 어드레스와 임팩트 순간 움짤을 보시면 굳이 선을 그어 드리지 않아도, 어드레스 때보다 임팩트 순간에 머리가 많이 내려 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임팩트 바로 직후에는 다시 발을 차 올리는 지면을 박차면서 머리가 어드레스 때 높이로 올라오는 ..
우리가 골프를 치면서 가장 큰 목표는 타수 줄이기보다 드라이버 비거리를 보다 더 멀리 날리는 것이 아닐까 싶습니다. 그래서 연습장에 가서 특정 프로 골퍼의 슬로우 모션을 본대로 힙턴을 먼저 해서 체중이동을 한 후에 볼을 치려 하지만 그 미묘한 트랜지션의 타이밍을 잘 맟추기가 힘들어서 몇번 따라하다가 포기하곤 하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연습은 좀 해야 하지만 비교적 쉽게 체중 이동을 잘 해서 왼쪽의 벽을 만들고 상체가 힘차게 돌면서 비거리와 방향성을 잡는 드릴을 알려 드리겠습니다. 위의 움짤은 제가 작년에 갤러리로 다녀 온 '크리스 F&C 챔피언십'에서 촬영한 KLPGA 프로골퍼들의 임팩트 직정 및 직후의 모습을 편집해 본 것입니다. 우리가 지향하는 힙턴이 45도가 되면서 왼발이 가상의 벽을 만든 후 임팩트..
골프를 치면서 우리의 로망은 단 한 가지 일 겁니다. 백스윙 탑이 완성 되기 직전에 하체가 먼저 리드를 하면서 힙슬라이딩 후 힙턴을 하고 뒤 따라 내려 오던 팔목은 리코킹이 잘 되서 볼 스트라이킹 전까지 90도에 가까운 리코킹 각도를 유지 하면서 클럽을 뿌려주는 샷으로 아~주 멀리 드라이버 비거리를 내고 싶지만, 쉽지 않습니다. 힙턴이 잘 된 것 같으면 어깨가 따라 돌아서 힘의 손실을 가져 오고, 상체 턴이 잘 된거 같으면 힙은 가다 말아서 뒤에서 퍼올리는 샷이 되기도 하고 열거하기 힘들 정도로 많은 이유로 힙턴에 의한 체중이동이 쉽지가 않습니다. 사실 우리가 프로 골퍼 처럼 힙턴에 의한 체중이동 및 딜레이 히팅은 당연히 어렵습니다. 주말 골퍼인 우리들이 어렸을 때 부터 밥만 먹고 나면 볼을 치던 프로페..
다른 운동을 할 때도 그렇지만 특히나, 골프를 칠 때면 본인에게 너무 가혹한 잣대인 프로 골퍼의 스윙을 가지고 분석을 합니다. '프로 골퍼는 이렇게 스윙을 하는데 왜 난 못하지?'라는 생각에 사로 잡혀서 좋아하는 프로 골퍼의 스윙을 슬로우 모션으로 몇 십번 몇 백번을 볼 때면 '아 이렇게 하면 되겠구나'싶은데 막상 따라하려면 잘 되지 않습니다. 그런데 말입니다. 사실 어릴 때부터 잘 짜여진 프로그램과 선생님을 만나서 골프를 쳐 왔던 프로 골퍼와 나를 비교하는 것 자체가 말이 안됩니다. 그들과 우리네가 해온 골프연습, 라운드, 운동량 및 재능 자체가 전혀 다른데 말이죠. 프로 골퍼들이 하는 샷을 동경하고 카피하는 것을 노력한다는 것은 좋지만 똑 같이 못한다고 실망하지 마시고요. 우리 몸에 맞는 스윙을 해야..
예전에 호기롭게 '골프 올바른 체중이동하는 아주 쉬운 방법'이라는 글을 쓴 적이 있습니다. 이 때는 사실 쓴 글에 대한 자신은 있지만, 혹여나 저만 아는 체중 이동 방법인 거 같아서 '모든 골퍼에게 적용이 될 수 있을까?'라는 의문이 살짝 들었습니다. (아래의 움짤 처럼 임팩트시에 오른발 안쪽 날로 킥킹을 하는 것이었습니다.) 그런데 몇 일전 KLPGA '넥센·세인트나인 마스터즈 2018' 대회 1라운드에서 저의 글을 뛰어 넘는 방법으로 체중 이동을 하는 선수를 봤습니다. 바로 김민선 5 프로가 저의 글에 쓴 것보다 더 나아간 킥킹을 하고 있더군요. 조금 자신감을 얻어서 전에 쓴 글을 좀 더 심화하여 언제나 일관된 체중 이동을 쉽게 하는 방법을 써 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실 보고 나면 별거 없습니다..
골프라는 운동을 즐기면서 해야 할 중요한 것들이 참 많습니다만 그 중에서 으뜸인 것 하나를 꼽으라면 저는 '체중 이동'을 말하고 싶습니다. 볼 스트라이킹 직전에 본인의 무게 중심만 항상 같은 자리에 있다면 미스를 해도 범위가 한정 되고, 볼의 탄착지점을 예측할 수 있을 상황이 많이 나오게 됩니다. 일례로 백스윙 탑일 때의 무게 중심에서 좌측으로 20cm가 옮겨 가야 본인에게 맞는 체중 이동 거리라고 가정하면 10cm만 체중 이동이 된다고 하면 클럽의 스윙 궤도가 자연스럽게 아 웃 투인 궤도가 됩니다. 또한 드라이버 샷 이었을 때는 약 2cm의 거리당 클럽 페이스가 1도 닫히는 결과를 가져 오게 됩니다.[반대로 생각하면 본인의 적정한 체중 이동거리보다 몸이 더 움직이면 클럽페이스가 열리겠습니다만 그럴 일은..
수학계에 7대 난제가 있다면, 우리 아마추어 골프계에도 이와 비슷하게 잘 풀리지 않는 골프 10대 난제가 있습니다. 1. 힘빼기 2. 척추각 유지 3. 치킨윙 4. 플라잉엘보 5. 채를 끌고 내려오는 레깅 및 딜레이 히팅 6. 드라이버 비거리 7. 좌우 방향성 8. 백스윙시 팔목 돌아감 9. 뗏장 뜨기 10. 체중이동 등이 있는데요. 나열하다 보니 20대 난제 정도는 적을 수 있겠네요. (제가 정한 10대 골퍼 난제 중에서) 딱 하나만 제대로 하면 나머지 9가지의 난제가 고쳐 지는 것은 아니지만 살짝 고쳐지면서 정도가 덜해지게 해주는 것이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체중이동' 입니다. 골프를 치면서 체중이동만 제대로 할 줄 알면 수많은 실수가 나오더라도 일정하게 납니다. 일정한 실수가 발생하면 좋은 것은..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