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10월에 수석으로 프로 테스트를 통과한 김민별 프로는 루키 1년차인 2023년에 29대회에 참가하여 컷탈락 3회, Top10에 5회나 드는 안정적인 플레이로 우승은 없었으나 총 상금 7.46억원 상금순위 6위로 화려하게 시즌을 마무리 하며 신인상을 수상하였다. 2024년 또한 22개 대회 참가중 컷탈락3회, Top10에 5회에 들며 전년과 비슷한 안정감은 있었으나 상금은 상대적으로 낮은 3.05억원을 수령하고 있었는데 23번째 대회인 '2024 동부건설 · 한국토지신탁 챔피언십(10.10~10.13)'에서 2위 방신실 프로(+47)를 근소한 차이인 2포인트 차이인 +49포인트로 생애 첫 우승컵을 들어 올렸다. (KLPGA 최초 '변형 스테이블포드' 경기 방식으로 타수가 아닌 점수로 우승자를 ..
2015년도에 KLPGA 정회원으로 입회한 이다연 프로는 157Cm의 단신임에도 불구하고 호쾌한 드라이버로 비거리가 240.37야드(36위)를 날리는 장타자로 퍼팅이 주특기(29.28개, 6위)인 선수다. 루키 1년차 때는 정규투어에 적응하는 시기였고 2년차인 2017년 팬텀 클래식에서 생에 첫승을 한 후, 18년 1승, 19년 3승, 21년3승, 23년 2승을 하며 총 8승을 기록 중이다. (24.09.27 까지 8승 이상의 다승을 한 선수는 1위 신지애 프로 20승을 비롯하여 총 22명이다.) 현재 베어즈베스트 청라에서 치뤄지는 하나금융그룹 챔피언십은 디펜딩 챔피언 자격으로 참가중인 대회로 2라운드 결과 1위 윤이나 프로(8언더파)에 이어 박지영, 홍현지, 성유진 프로와 함께 공동 2위(7언더파)를..
2019년 5월에 KLPGA 투어 정회원이 된 노승희 프로는 시드권을 바로 획득하여 2020년부터 본격적인 투어생활을 시작하였습니다. 20~23년까지는 최고성적 2위를 1번 하며 적응기간을 거치다가 2024년에 ' DB그룹 제38회 한국여자오픈골프선수권대회'에서 13언더파로 우승컵을 들어 올리며 위너스 클럽에 가입하게 되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노승희 프로의 골프 장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그 전에 노승희 프로가 우승할 수 있었던 2024 시즌 골프 스탯을 먼저 알아 보겠습니다. 기록명기록순위상금6.72억원7대상포인트284점6평균타수70.3타4평균버디3.49개16파3평균버디17.3개12파4평균버디16.7개27파5평균버디28.0개15버디율19.4%16파브레이크율19.4%18파3성적2.92개6..
한진선 프로는 대기만성형 선수로 2016년도에 KLPGA에 입회하여 2021년도까지는 우승이 없다가 22년, 23년에 하이원리조트 여자오픈에서 2연패를 달성했다. 24년 현재 우승은 없지만 탑10에 4회, 최고 등수는 3위로 언제 우승해도 이상하지 않은 상황이다. 한진선 프로의 골프 장비에 대해 알아 보기 전에 6년 동안 실력을 쌓으며 잠룡으로 있다가 동 대회를 2연승한 비결을 공식 골프 스탯을 보며 알아 보자.기록명기록순위드라이버 비거리235.6야드70페어웨이 안착률76.12%23그린적중률74.91%22리커버리율64.17%25벙커세이브율55.56%19평균퍼팅 갯수30.28개65평균버디 갯수3.12개34평균타수71.22개22 한 프로의 드라이버 비거리는 런포함 235.6야드(=215.4M)로 70위..
이제는 현역 프로골퍼 중에서는 제일 맏얻니가 된 박주영 프로는 2008년에 KLPGA 투어에 정회원으로 입회한 이후 2010년에 시드권을 얻어 본격적인 투어 생황을 시작했다. 2022년까지 약 12년간 우승은 없었지만 약 16억원의 총상금을 수령하였고, 2021년도에는 2위 2번 상금 4.39억원으로 올라오며 우승 가능성을 옅봤다. 그러나 2022년도에는 조건부 시드권자로 7개 대회만 참가할 수 있었고, 상금 4840만원으로 매우 힘든 상황이었으나 시드권을 놓치지 않고 2023년 278경기째인 '대보 하우스디 오픈'에서 투어 프로 생활 16년만에 첫승리를 하였다. 그 동안 자매 골퍼로 유명했던 박희영 프로의 커리어(KLPGA 3승, LPGA 3승) 에 마음고생이 심했을 터인데(2014년에 LPGA 시..
2020년도에 KLPGA에 입회한 마다솜 프로는 21시즌 정규투어 시드권은 확보하지 못하고 드림 투어에서 담금질을 하며 현역 선수들도 다시 가라면 은퇴하겠다고 말하는 죽음의? 시드전에서 5위를 하며 22시즌 풀시드권을 확보했다. 22 루키 시즌에는 우승은 없지만 탑 10에 5번이나 들었고 29경기 중에 컷 통과를 25번을 하며 신인 답지 않은 노련한 플레이로 2.24억원의 상금(39위)을 수령하며 시즌을 마무리 했다. 루키 3년차인 2023년 9월에 열린 OK금융그룹 웃맨 오픈에서 15언더파(총 3라운드) 를 치며 생애 첫 우승을 차지 하였고, 그해 상금 순위 13위(5.63억원)으로 시즌 아웃을 한 후, 24 시즌 현재 또 한번의 우승을 위해 열심히 노력 중이다. 곧 마프로의 우승 소식이 들려 오..
이번 글에서는 2014년도에 KLPGA에 입회하여 무관으로 2020년 시즌까지 7년동안 실력을 쌓다가 21년 2승, 22년 2승, 23년1승을 하며 통산 우승 5회, 역대상금액수 36.93억원으로 8위에 랭크 중인 이제는 고참 선수가 되어버린 김수지 프로의 골프 장비를 살펴 보도록 하겠다. 장비를 살펴 보기에 앞서 역대 상금순위 8위까지 올라온 김수지 프로의 주요 골프 스탯을 살펴 보자.기록기록명순위평균타수70.26개5드라이브 거리247.8야드13페어웨이 안착률72.70%40그린적중률80.46%1평균버디3.68개7버디율20.46%7파브레이크율20.46%8평균퍼팅30.65개82톱텐 피니쉬율36.84%7 김수지 프로는 163cm 키의 비교적 단신임에도 온몸에서 뿜어져 나오는 힘으로 드라이버 비거리가..
2002년생인 문정민 프로는 2021년도에 KLPGA 정회원이 된 후, 2022 시즌부터 본격적인 정규투어 생활을 하였는데 27개 대회에 참가하여 12번의 컷탈락을 하고 그해 상금 1.15억원(75위)로 시즌 아웃을 하며 시드권을 잃을 상황이었으나 시드순위전에서 2023 시즌 조건부 시드권을 획득을 하였다. 그러나 루키로서 적응이 힘들었던 탓인지 23시즌에도 정규투어(17대회), 드림투어(15대회)를 오가며 정규시즌 최고성적 공동 2위까지 하며 가능성을 보이다가, 2024년 9월 22일 '대보 하우스디 오픈' 결승에서 총 합계 9언더파로 지한솔 프로(2타차), 이예원, 장수연 프로(3타차)를 제치고 첫 우승컵을 들어 올리며 KLPGA투어 위너클럽에 들어갔다. 금번 우승으로 2025 시즌 풀시드권을 획..
2003년생인 황유민 프로는 2022년 8월에 KLPGA에 입회하기 전 아마추어 신분으로 2019년에 3개 대회에 초청선수로 참가하여 2번 컷탈락 1번은 공동 19위, 2020년 2개 대회에 초청되어 1회 컷 탈락, 1회 공동 26위, 2021년에는 5개 대회에 초청되어 최고성적 공동 4위를 기록하며 충분히 가능성을 보여 줬습니다. 투어생활 2년차인 2023년에 우승 1회, 2위 1회, 3위 2회, 탑 10 피니시 8회를 하며 수령한 상금이 6.55억 원(11위)으로 충분히 좋은 성적으로 시즌을 마무리하고, 2024시즌에도 1승을 추가하며 총상금 8.05억 원을 수령하며 상금순위 5위(1위 박지영 프로 10.13억)를 달리고 있습니다. 황유민 프로의 장비를 살펴보고자 합니다. 피팅이 힘든 분들 중에..
아마추어 시절에 항저우 아시안 게임에서 동메달을 따며 저력을 과시한 유현조 프로는 2023년 11월에 KLPGA 투어의 정회원이 되고 2024년 시즌부터 루키 1년 차입니다. 쟁쟁한 언니들과 본격적인 투어 생활을 하고 있는 유현조 프로는 드라이버 비거리가 251.62야드(230M-8위 방신실 프로가 1위로 259.44야드) 의 장타를 기본으로 탑재하고 페어웨이 안착률 65.9%로 다소 불안한 감이 없진 않지만 자로 잰듯한 아이언 샷으로 세컨드, 서드샷을 온그린시키는 능력이 탁월해서 (그린 적중률 76.2%, 9위) 라운드당 평균 퍼팅 30.34개를 치는 등 신인답지 않은 노련함으로 투어에 잘 적응하고 있는 유현조 프로입니다. 2024.09.01 까지 장타 + 안정적인 숏게임으로 최고 순위 공동 4위까..
2018년 3월에 KLPGA에 입회한 이가영 프로는 2부 투어인 드림투어 18개 대회 중에서 2승을 거두며 정규 투어의 시드권을 획득하였습니다. 정규 투어 루키 기간 3년 동안은 우승은 없었지만 꾸준히 높은 성적을 기록하며 19년 2.89억 원(25년), 20년 1.20억 원(42위), 21년 5.00억 원(14위)의 상금을 수령하며 우승 가능성은 충분히 내비치다가 22년 동부건설. 한국토지신탁 챔피언십에서 드디어 처 우승을 하며 위너스 클럽에 들어가게 되었고 상금은 6.36억 원을 수령하였고, 올해 24년에는 베어즈베스트 청라 GC에서 열린 메이저 대회인 롯데오픈에서 우승하며 명실공히 언제든지 우승할 수 있는 저력을 갖춘 선수로 성장하였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가영 프로의 캐디백에 들어 있는 장비를..
이번 글에서는 2017년에 KLPGA 투어에 입회하여 투어생활 7년만인 2023년에 첫 승을 거둔 후 최근 2024 KG 레이디스 오픈에서는 배소현 프로와 3차전까지 가는 연장전을 치르며 아쉽게 준우승을 차지한 박보겸 프로의 골프채 리스트를 올려 봅니다. 스펙이 비슷한 분들은 장비 교체 또는 구매 시 참조하시면 좋을 거 같습니다. 우선 박보겸 프로의 주요 골프스탯을 알아보면 드라이버 평균 비거리 : 243.51야드 39위로 KLPGA에서는 장타자 축에 속합니다. 페어웨이 안착률은 장타자 치고는 71.88%(44위)로 높은 편입니다. 한 가지 아쉬운 점은 장타자의 장점인 세컨, 서드샷이 비교적 짧게 남은 상황에서 그린 적중률이 71.62%(104위)로 낮은 편입니다. 아이언 클럽에 대해 보완을 하면 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