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5월에 KLPGA 투어 정회원이 된 노승희 프로는 시드권을 바로 획득하여 2020년부터 본격적인 투어생활을 시작하였습니다. 20~23년까지는 최고성적 2위를 1번 하며 적응기간을 거치다가 2024년에 ' DB그룹 제38회 한국여자오픈골프선수권대회'에서 13언더파로 우승컵을 들어 올리며 위너스 클럽에 가입하게 되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노승희 프로의 골프 장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그 전에 노승희 프로가 우승할 수 있었던 2024 시즌 골프 스탯을 먼저 알아 보겠습니다. 기록명기록순위상금6.72억원7대상포인트284점6평균타수70.3타4평균버디3.49개16파3평균버디17.3개12파4평균버디16.7개27파5평균버디28.0개15버디율19.4%16파브레이크율19.4%18파3성적2.92개6..
2016년 10월에 KLPGA에 정회원이 된 임진희 프로는 16년 17년 2개년도 동안 드림투어 생활을 하며 시드권을 획득하여 2018년도부터 본격적인 투어 생활을 시작하게 됩니다. 루키 1~2년 차에는 적응이 힘들었는지 2020년도에는 점프투어로 강등되었습니다만(풍문에는 어떤 프로 골퍼는 드림투어로 강등된다면 은퇴한다는 이야기가 들리기도 합니다.) 점프투어에서 심기일전 하고 열심히 하여 2021년 시드권을 획득하여 정규대회에 참가하다가, ' BC카드 · 한경 레이디스컵 2021'에서 우승컵을 들어 올리며 첫승을 거두게 됩니다. 그러나 27개 대회 중 톱 10 피니쉬 횟수가 6회로 아직은 안정적인 모습은 아니었는데, 2022년도에는 28개 대회 참가하여 우승 1회, 2위 1회, 3위 1회 탑 10 피니..
이제는 현역 프로골퍼 중에서는 제일 맏얻니가 된 박주영 프로는 2008년에 KLPGA 투어에 정회원으로 입회한 이후 2010년에 시드권을 얻어 본격적인 투어 생황을 시작했다. 2022년까지 약 12년간 우승은 없었지만 약 16억원의 총상금을 수령하였고, 2021년도에는 2위 2번 상금 4.39억원으로 올라오며 우승 가능성을 옅봤다. 그러나 2022년도에는 조건부 시드권자로 7개 대회만 참가할 수 있었고, 상금 4840만원으로 매우 힘든 상황이었으나 시드권을 놓치지 않고 2023년 278경기째인 '대보 하우스디 오픈'에서 투어 프로 생활 16년만에 첫승리를 하였다. 그 동안 자매 골퍼로 유명했던 박희영 프로의 커리어(KLPGA 3승, LPGA 3승) 에 마음고생이 심했을 터인데(2014년에 LPGA 시..
이번 글에서는 2014년도에 KLPGA에 입회하여 무관으로 2020년 시즌까지 7년동안 실력을 쌓다가 21년 2승, 22년 2승, 23년1승을 하며 통산 우승 5회, 역대상금액수 36.93억원으로 8위에 랭크 중인 이제는 고참 선수가 되어버린 김수지 프로의 골프 장비를 살펴 보도록 하겠다. 장비를 살펴 보기에 앞서 역대 상금순위 8위까지 올라온 김수지 프로의 주요 골프 스탯을 살펴 보자.기록기록명순위평균타수70.26개5드라이브 거리247.8야드13페어웨이 안착률72.70%40그린적중률80.46%1평균버디3.68개7버디율20.46%7파브레이크율20.46%8평균퍼팅30.65개82톱텐 피니쉬율36.84%7 김수지 프로는 163cm 키의 비교적 단신임에도 온몸에서 뿜어져 나오는 힘으로 드라이버 비거리가..
2002년생인 문정민 프로는 2021년도에 KLPGA 정회원이 된 후, 2022 시즌부터 본격적인 정규투어 생활을 하였는데 27개 대회에 참가하여 12번의 컷탈락을 하고 그해 상금 1.15억원(75위)로 시즌 아웃을 하며 시드권을 잃을 상황이었으나 시드순위전에서 2023 시즌 조건부 시드권을 획득을 하였다. 그러나 루키로서 적응이 힘들었던 탓인지 23시즌에도 정규투어(17대회), 드림투어(15대회)를 오가며 정규시즌 최고성적 공동 2위까지 하며 가능성을 보이다가, 2024년 9월 22일 '대보 하우스디 오픈' 결승에서 총 합계 9언더파로 지한솔 프로(2타차), 이예원, 장수연 프로(3타차)를 제치고 첫 우승컵을 들어 올리며 KLPGA투어 위너클럽에 들어갔다. 금번 우승으로 2025 시즌 풀시드권을 획..
2003년생인 황유민 프로는 2022년 8월에 KLPGA에 입회하기 전 아마추어 신분으로 2019년에 3개 대회에 초청선수로 참가하여 2번 컷탈락 1번은 공동 19위, 2020년 2개 대회에 초청되어 1회 컷 탈락, 1회 공동 26위, 2021년에는 5개 대회에 초청되어 최고성적 공동 4위를 기록하며 충분히 가능성을 보여 줬습니다. 투어생활 2년차인 2023년에 우승 1회, 2위 1회, 3위 2회, 탑 10 피니시 8회를 하며 수령한 상금이 6.55억 원(11위)으로 충분히 좋은 성적으로 시즌을 마무리하고, 2024시즌에도 1승을 추가하며 총상금 8.05억 원을 수령하며 상금순위 5위(1위 박지영 프로 10.13억)를 달리고 있습니다. 황유민 프로의 장비를 살펴보고자 합니다. 피팅이 힘든 분들 중에..
아마추어 시절에 항저우 아시안 게임에서 동메달을 따며 저력을 과시한 유현조 프로는 2023년 11월에 KLPGA 투어의 정회원이 되고 2024년 시즌부터 루키 1년 차입니다. 쟁쟁한 언니들과 본격적인 투어 생활을 하고 있는 유현조 프로는 드라이버 비거리가 251.62야드(230M-8위 방신실 프로가 1위로 259.44야드) 의 장타를 기본으로 탑재하고 페어웨이 안착률 65.9%로 다소 불안한 감이 없진 않지만 자로 잰듯한 아이언 샷으로 세컨드, 서드샷을 온그린시키는 능력이 탁월해서 (그린 적중률 76.2%, 9위) 라운드당 평균 퍼팅 30.34개를 치는 등 신인답지 않은 노련함으로 투어에 잘 적응하고 있는 유현조 프로입니다. 2024.09.01 까지 장타 + 안정적인 숏게임으로 최고 순위 공동 4위까..
2018년 3월에 KLPGA에 입회한 이가영 프로는 2부 투어인 드림투어 18개 대회 중에서 2승을 거두며 정규 투어의 시드권을 획득하였습니다. 정규 투어 루키 기간 3년 동안은 우승은 없었지만 꾸준히 높은 성적을 기록하며 19년 2.89억 원(25년), 20년 1.20억 원(42위), 21년 5.00억 원(14위)의 상금을 수령하며 우승 가능성은 충분히 내비치다가 22년 동부건설. 한국토지신탁 챔피언십에서 드디어 처 우승을 하며 위너스 클럽에 들어가게 되었고 상금은 6.36억 원을 수령하였고, 올해 24년에는 베어즈베스트 청라 GC에서 열린 메이저 대회인 롯데오픈에서 우승하며 명실공히 언제든지 우승할 수 있는 저력을 갖춘 선수로 성장하였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가영 프로의 캐디백에 들어 있는 장비를..
이번 글에서는 2017년에 KLPGA 투어에 입회하여 투어생활 7년만인 2023년에 첫 승을 거둔 후 최근 2024 KG 레이디스 오픈에서는 배소현 프로와 3차전까지 가는 연장전을 치르며 아쉽게 준우승을 차지한 박보겸 프로의 골프채 리스트를 올려 봅니다. 스펙이 비슷한 분들은 장비 교체 또는 구매 시 참조하시면 좋을 거 같습니다. 우선 박보겸 프로의 주요 골프스탯을 알아보면 드라이버 평균 비거리 : 243.51야드 39위로 KLPGA에서는 장타자 축에 속합니다. 페어웨이 안착률은 장타자 치고는 71.88%(44위)로 높은 편입니다. 한 가지 아쉬운 점은 장타자의 장점인 세컨, 서드샷이 비교적 짧게 남은 상황에서 그린 적중률이 71.62%(104위)로 낮은 편입니다. 아이언 클럽에 대해 보완을 하면 좀..
2014년에 입회한 박지영 프로가 24년 8월 25일 한화클래식 대회에서 우승을 하면서 KLPGA 에서 통산 우승횟수 10회 이상인 16번째 선수가 됐고, 23시즌 2승, 24시즌 3승을 차지하며 박현경 프로 및 이예원 프로와 더불어 다승 공동 1위(3승)에 올라 섰고상금순위는 1위 박현경 프로(9.59억원)에 이어 9.56억원으로 2위에 올라 섰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역대 통산 우승을 16번째로 10승(16년 1승, 18년 1승, 21년 1승, 22년 2승, 23년 2승, 24년 3승)을 차지하고, 역대 상금 수령액 49억 74만원(3위)을 수령한 박지영 프로의 골프 클럽을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정보는 KLPGA 홈페이지 '위너스백'에서 가져 왔습니다. KLPGA 홈페이지의 위너스 백에서 보고..
이번 글에서는 KLPGA 프로 골퍼 중에서 23년 24년에 단 1승이라도 차지한 프로골퍼 24명(1승~6승)의 골프클럽을 공개해 놓은 'KPLGA 홈페이지 > 위너스백'에서 드라이버 비거리, 예상 캐리거리, 예상 스윙스피드, 예상 볼스피드에 따른 장비 표를 올려 봅니다. 본인이 좋아하는 메이커 피팅샵에서 피팅 받는 것을 당연히 추천하지만 여의치 않은 분들은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피팅을 준비하시는 분들은 꼭~ 컴퓨터로 보고 복사해서 엑셀 파일로 옮겨서 보시기를 권합니다. 음. 마지막에 엑셀 파일을 올려 놓을께요. 일단 훑어 보시고, 장비 교체를 고민하시는 분들은 많이 보고, 실제 샵에 가서 최소한 3회 이상은 시타해 보시고 결정하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프로골퍼의 장비를 참조하시는 분들은 꼭 드라이버 ..
이번 글에서는 23년 24년도에 최소 1승 최대 6승을 차지한 위너들의 장비 중에서 아이언 및 드라이빙 아이언(=하이브리드)를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지난 글에서 유틸리티는 다뤘지만~ 4번 아이언 대용으로 유틸리티를 쓰는 프로골퍼가 많아서 아이언 + (유틸리티 or 하이브리드 클럽) 을 구성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아이언 + 하이브리드 및 유틸리티 표를 올려 봅니다. 자료는 KLPGA 홈페이지의 '위너스백' 입니다. 아 그리고 저도 그렇지만 하이브리드와 유틸리티가 헷갈리는 분들도 있을 것 같아서 정리하고 넘어 가겠습니다. 하이브리드는 기존의 아이언 중에서 1,2,3,4 번 아이언이 잔디에 걸려서 비거리의 손실 또는 방향이 틀어지는 것을 보완하기 위해 솔부분을 넓게(=두껍게) 만든 아이언이고 예전에는 '드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