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글에서는 최종보스라고 불리는 보우만의 빙고 또는 보우맨의 빙고 (Bowman's Bingo)에 대해 알아 보겠다. 명칭의 유래는 스킵하도록 하자! 내가 생각할 때, 별로 의미가 없다. 개념 자체는 쉽지만 찾기가 어렵고 실제로 찾을 때도 이게 맞음?? 이라는 의문이 들면서 미궁에 빠지기도 해서 저 세상 공식이라고 생각한다. 이 글은 체인 전략을 알고 있으면 좋지만 몰라도 이해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바로 시작하겠다. 우선 바로 보우만의 빙고로 가지 않고 아래와 같은 게임이 있을 때, WXYZ윙 > XY체인 > ALS 3가지 공식으로 풀고 1가지 방식으로 증명을 해보도록 하겠다. 풀이 움짤1. 2/5/6/9 네 개의 숫자로 잠긴 > WXYZ윙 위의 움짤은 전형적인 WXYZ-윙의 형태로 ..
최근에 ALS라는 공식을 알게 된 후로 XY체인과, XY윙, XYZ윙, WXYZ윙이 잘 보여지게 되고 있다. ALS공식 자체는 2개의 연속된 ALS 2개의 세트가 있는 경우에 적용는데, 데스 블라썸은 좀 더 확장된 개념으로 연결되지 않은 ALS 2개의 세트를 피벗 기능을 하는 칸이 연결 시키는 확장된 ALS라고 보면 되겠다. 아무리 뜯어봐도 왜 명칭이 데스 블라썸인지 모르겠다. (발견자의 마음인 듯.. 하다) 경우에 따라서는 3개의 ALS 세트가 연결된다고 보면 되지만 아직 검증이 되지 않아서 2개의 세트를 피벗으로 연결한다.. 는 개념으로 보는 게 맞을 듯 하다. 개념 자체는 어렵지 않지만 눈에 잘 띄지 않아서 저 세상 공식에 올린다. 만약에 ALS 개념을 몰라도 이해하는데는 무리는 없다고 생..
지난 번 글에서는 저 세상 레벨인 정련된 쌍 배제 공식(APE) type1에 대해 알아 봤는데 이번 글에서는 type2에 대한 것을 알아 보도록 하겠다. 혹시 Aligned Pair Exclusion 또는 Almost Locked Sets에 대해 처음 접하는 스도커는 아래 링크를 순서대로 익히고 이 글로 오면 좋을 거 같다. APE는 모든 칸은 최대 9개의 후보숫자로부터 일단 VWXYZ > VXYZ > VXY > XY형태로 점차적으로 줄여 나가고 궁극적으로는 풀하우스 X값 한개만 찾는 것을 목표로 하는 개념에서 XYZ 형태의 3개의 후보숫자 중 1개를 제거 하여 XY/YZ/ZX의 형태로 만들기 위해 참조하는 XY, XZ, ZX, WX 등의 이중값을 갖는 후보숫자에서 힌트를 얻는 공식이다. 움짤로 ..
이번 글에서는 저 세상 레벨에 속하는 스도쿠 기술인 Aligned Pair Exclusion(APE)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APE는 한국어로 변환하자면 정렬된 쌍 배제' 정도 되겠다. 2가지의 타입이 있는데 이번 글에서는 TYPE 1에 대해서만 알아보도록 하겠다. 한 번에 1,2 모두 보면 머리가 터질 수도 있다. APE는 풀하우스가 되기 직전의 후보숫자들의 조합 즉, 이중위치를 갖는다는 성질을 이용하는 스도쿠 공식으로 형태는 XY윙, XYZ윙, WXYZ윙과 비슷한 패턴을 띄지만 접근방식은 전혀 다르다. 패턴 자체는 BUG에 좀 가까워 보인다. 움짤예제 0. BUG 패턴 - APE와 마찬가지로 마지막 남은 3개 남은 후보숫자를 이중값을 갖는 숫자에서 추론하는데, 방식이 다르긴 하다. 하지..
이번 글에서는 스도쿠에 존재하는 전략 중에 내가 이해할 수 있는 마지막 기술인 '셀 포싱 체인'에 대한 글을 쓰도록 하겠다. 개념은 이전 글인 '유닛 포싱 체인'과 비슷한데, 81개 칸 중에 1개 단위인 Cell = 칸에 대한 강제적인 체인 기술로 2~4개의 후보숫자가 모두 On 또는 Off가 되는 경우 원인이 되는 후보숫자를 제거하는 기술로 알아두면 될 거 같다. 또한 우리가 인게임에서 만나는 빈도는 적을 것이고, 만나더라도 발견이 힘들 거라고 생각하지만 스도쿠에 대한 개념 확장(위크링크로 스타트 한다.)을 위해 알아 두면 좋겠다고 본다. 그럼 바로 출발~ (모든 자료 출처는 '스도쿠 위키'다. 유용한 사이트니 한 번 방문해 보길 강추한다. 앱은 101점 짜린데, 인터페이스가 별루라서 비추하지만 스..
이번 글에서는 우리가 알던 스도쿠 기술과 좀 다른 저 세상 느낌이 드는 유니크한 전략인 '유닛 포싱 체인(Unit Forcing Chains, 뒤에는 UFC라고 칭하겠다.)'에 대해 알아 보도록 하겠다. 인게임에서 만나기도 어려울 거고 찾기도 어렵겠다는 생각은 하지만, 일단 재미있는 체인 공식이기도 하고, UFC 개념 자체는 간단하니 익혀두면 좋을 것 같다. 이 글에서는 Tripe UFC 및 Quard UFC만 올리는데 당연히 Dual UFC도 가능하지만, 예제 찾기가 힘들다. 트리플 및 쿼드를 이해하면 듀얼은 당연히 이해가 될 거라고 본다. 본 글에 쓰인 예제는 '스도쿠 위키'라는 사이트에서 차용했다. 움짤 1. Triple UFC 1. 위의 움짤을 보면 2[A2], 2[A3], 2[A5]에 존재..
이번 글에서는 나의 기준으로는 스도쿠의 최종보스인 교대 추론 체인에 대해 알아 보도록 하겠다. 일단 명칭이 익숙하지 않을 텐데 Alternating Inference Chains 라는 명칭을 직역한 것으로 AIC라고도 부른다. 지금까지 알게된 'X체인' 및 '그룹 X체인' 과 XY 체인의 규칙과 동일하지만 한 개의 체인에 위에 기술한 공식이 동시에 나와서 각각의 체인 기술을 교대로 추적하며 체인을 형성한다고 해서 '교대 추론 체인(AIC)'라고 부른다. 자! 최종보스를 잡으러 가보자!! (참고로 이 글은 최소한 X 사이클, 그룹 링크, XY 체인에 대한 개념은 알고 있다고 가정하고 쓰는 글이다. 예제는 모두 한 개의 게임에 등장하는 여러 개(26개)의 AIC들로 구성됐다. (자료는 '스도쿠 위..
이번 글에서는 그룹 링크에 대해 알아 보도록 하겠다. 체인 공식들의 개념을 좀 더 확장할 수 있는 개념이니 잘 보도록 하자고 글은 쓰지만 어렵지는 않다. 일단 이 글은 X 사이클(=X 체인) 시리즈는 알고 있다고 가정하고 글을 쓴다. 혹시 이런 체인 공식 용어가 낯설다면 그룹 링크의 개념만 훑어 보고~ 싱글 체인 먼저 살펴 보기를 권한다. 스도쿠 15. 고급공식/ 싱글 체인(심플 컬러링)-움짤, 패턴스도쿠 16. 고급공식/ X 사이클(루프형, 위크링크형)-움짤, 패턴 우선 아래의 움짤을 보면 8열에 이중위치를 갖는 후보숫자 2가 스트롱 링크 9열에 이중위치를 갖는 후보숫자 2가 스트롱 링크로 존재하는데 같은 열에 2개씩 배열이 되어 X윙의 형태를 갖추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래서 X윙 공식에 따라..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