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10월에 수석으로 프로 테스트를 통과한 김민별 프로는 루키 1년차인 2023년에 29대회에 참가하여 컷탈락 3회, Top10에 5회나 드는 안정적인 플레이로 우승은 없었으나 총 상금 7.46억원 상금순위 6위로 화려하게 시즌을 마무리 하며 신인상을 수상하였다. 2024년 또한 22개 대회 참가중 컷탈락3회, Top10에 5회에 들며 전년과 비슷한 안정감은 있었으나 상금은 상대적으로 낮은 3.05억원을 수령하고 있었는데 23번째 대회인 '2024 동부건설 · 한국토지신탁 챔피언십(10.10~10.13)'에서 2위 방신실 프로(+47)를 근소한 차이인 2포인트 차이인 +49포인트로 생애 첫 우승컵을 들어 올렸다. (KLPGA 최초 '변형 스테이블포드' 경기 방식으로 타수가 아닌 점수로 우승자를 ..
이민지 프로는 2014년도에 아마추어 자격으로 ALPG Tour 'Victorian Opne'우승, LPGA Tour 'ISPS Handa Women's Australian Open'에서 공동 11위까지 오르며 골프 선수로서 충분한 가능성을 비추고 2015년 18세가 되던 해에 LPGA에 입회하여 'Kingsmill Championship presented by JTBC' 대회에서 루키 우승을 하며 화려한 데뷔를 하였다. 다만 같은 해에 김세영 프로가 3승을 하며 더 화려한 데뷔를 하며 신인상 차지하였다. 그 이후 2016년 2승, 2018년 1승, 2019년 1승, 2021년 1승, 2022년 2승(US Women's Open 우승 포함), 2023년 2승 통산 우승 10승을 하며 호주의 80년대 ..
2015년도에 KLPGA 정회원으로 입회한 이다연 프로는 157Cm의 단신임에도 불구하고 호쾌한 드라이버로 비거리가 240.37야드(36위)를 날리는 장타자로 퍼팅이 주특기(29.28개, 6위)인 선수다. 루키 1년차 때는 정규투어에 적응하는 시기였고 2년차인 2017년 팬텀 클래식에서 생에 첫승을 한 후, 18년 1승, 19년 3승, 21년3승, 23년 2승을 하며 총 8승을 기록 중이다. (24.09.27 까지 8승 이상의 다승을 한 선수는 1위 신지애 프로 20승을 비롯하여 총 22명이다.) 현재 베어즈베스트 청라에서 치뤄지는 하나금융그룹 챔피언십은 디펜딩 챔피언 자격으로 참가중인 대회로 2라운드 결과 1위 윤이나 프로(8언더파)에 이어 박지영, 홍현지, 성유진 프로와 함께 공동 2위(7언더파)를..
성유진 프로는 00년생으로 2018년도에 성인이 되자마자 KLPGA 정회원이 되었다. 그해 11월 시드전에서 4위를 차지하여 2019년도에 정식으로 KLPGA 정규투어 생활을 시작했다. 루키 1년차인 2019년도에는 쟁쟁한 선배들에 밀려 24개 대회에 참가하여 12번의 컷탈락을 하며 다시 시드전에 참가 21위로 2020년 조건부 시드권을 획득하였고, 점차 정규 투어에 적응하며 11번의 대회에 참가하여 2위 1회를 포함해 탑 10에 3번을 들며 안정적인 플레이를 펼치다가, 2021년도에는 탑 10에 2위 포함 6회, 2022년도에 롯데 오픈에서 마침내 생애 첫 우승을 거머쥔 후, 2023년도에는 두산 매치 플레이 챔피언십, S-OIL 챔피언십 2개 대회에서 우승컵을 들어 올리며 상금순위 10위(6.85..
2019년 5월에 KLPGA 투어 정회원이 된 노승희 프로는 시드권을 바로 획득하여 2020년부터 본격적인 투어생활을 시작하였습니다. 20~23년까지는 최고성적 2위를 1번 하며 적응기간을 거치다가 2024년에 ' DB그룹 제38회 한국여자오픈골프선수권대회'에서 13언더파로 우승컵을 들어 올리며 위너스 클럽에 가입하게 되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노승희 프로의 골프 장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그 전에 노승희 프로가 우승할 수 있었던 2024 시즌 골프 스탯을 먼저 알아 보겠습니다. 기록명기록순위상금6.72억원7대상포인트284점6평균타수70.3타4평균버디3.49개16파3평균버디17.3개12파4평균버디16.7개27파5평균버디28.0개15버디율19.4%16파브레이크율19.4%18파3성적2.92개6..
2016년 10월에 KLPGA에 정회원이 된 임진희 프로는 16년 17년 2개년도 동안 드림투어 생활을 하며 시드권을 획득하여 2018년도부터 본격적인 투어 생활을 시작하게 됩니다. 루키 1~2년 차에는 적응이 힘들었는지 2020년도에는 점프투어로 강등되었습니다만(풍문에는 어떤 프로 골퍼는 드림투어로 강등된다면 은퇴한다는 이야기가 들리기도 합니다.) 점프투어에서 심기일전 하고 열심히 하여 2021년 시드권을 획득하여 정규대회에 참가하다가, ' BC카드 · 한경 레이디스컵 2021'에서 우승컵을 들어 올리며 첫승을 거두게 됩니다. 그러나 27개 대회 중 톱 10 피니쉬 횟수가 6회로 아직은 안정적인 모습은 아니었는데, 2022년도에는 28개 대회 참가하여 우승 1회, 2위 1회, 3위 1회 탑 10 피니..
한진선 프로는 대기만성형 선수로 2016년도에 KLPGA에 입회하여 2021년도까지는 우승이 없다가 22년, 23년에 하이원리조트 여자오픈에서 2연패를 달성했다. 24년 현재 우승은 없지만 탑10에 4회, 최고 등수는 3위로 언제 우승해도 이상하지 않은 상황이다. 한진선 프로의 골프 장비에 대해 알아 보기 전에 6년 동안 실력을 쌓으며 잠룡으로 있다가 동 대회를 2연승한 비결을 공식 골프 스탯을 보며 알아 보자.기록명기록순위드라이버 비거리235.6야드70페어웨이 안착률76.12%23그린적중률74.91%22리커버리율64.17%25벙커세이브율55.56%19평균퍼팅 갯수30.28개65평균버디 갯수3.12개34평균타수71.22개22 한 프로의 드라이버 비거리는 런포함 235.6야드(=215.4M)로 70위..
이제는 현역 프로골퍼 중에서는 제일 맏얻니가 된 박주영 프로는 2008년에 KLPGA 투어에 정회원으로 입회한 이후 2010년에 시드권을 얻어 본격적인 투어 생황을 시작했다. 2022년까지 약 12년간 우승은 없었지만 약 16억원의 총상금을 수령하였고, 2021년도에는 2위 2번 상금 4.39억원으로 올라오며 우승 가능성을 옅봤다. 그러나 2022년도에는 조건부 시드권자로 7개 대회만 참가할 수 있었고, 상금 4840만원으로 매우 힘든 상황이었으나 시드권을 놓치지 않고 2023년 278경기째인 '대보 하우스디 오픈'에서 투어 프로 생활 16년만에 첫승리를 하였다. 그 동안 자매 골퍼로 유명했던 박희영 프로의 커리어(KLPGA 3승, LPGA 3승) 에 마음고생이 심했을 터인데(2014년에 LPGA 시..
2020년도에 KLPGA에 입회한 마다솜 프로는 21시즌 정규투어 시드권은 확보하지 못하고 드림 투어에서 담금질을 하며 현역 선수들도 다시 가라면 은퇴하겠다고 말하는 죽음의? 시드전에서 5위를 하며 22시즌 풀시드권을 확보했다. 22 루키 시즌에는 우승은 없지만 탑 10에 5번이나 들었고 29경기 중에 컷 통과를 25번을 하며 신인 답지 않은 노련한 플레이로 2.24억원의 상금(39위)을 수령하며 시즌을 마무리 했다. 루키 3년차인 2023년 9월에 열린 OK금융그룹 웃맨 오픈에서 15언더파(총 3라운드) 를 치며 생애 첫 우승을 차지 하였고, 그해 상금 순위 13위(5.63억원)으로 시즌 아웃을 한 후, 24 시즌 현재 또 한번의 우승을 위해 열심히 노력 중이다. 곧 마프로의 우승 소식이 들려 오..
이번 글에서는 2014년도에 KLPGA에 입회하여 무관으로 2020년 시즌까지 7년동안 실력을 쌓다가 21년 2승, 22년 2승, 23년1승을 하며 통산 우승 5회, 역대상금액수 36.93억원으로 8위에 랭크 중인 이제는 고참 선수가 되어버린 김수지 프로의 골프 장비를 살펴 보도록 하겠다. 장비를 살펴 보기에 앞서 역대 상금순위 8위까지 올라온 김수지 프로의 주요 골프 스탯을 살펴 보자.기록기록명순위평균타수70.26개5드라이브 거리247.8야드13페어웨이 안착률72.70%40그린적중률80.46%1평균버디3.68개7버디율20.46%7파브레이크율20.46%8평균퍼팅30.65개82톱텐 피니쉬율36.84%7 김수지 프로는 163cm 키의 비교적 단신임에도 온몸에서 뿜어져 나오는 힘으로 드라이버 비거리가..
이번 글에서는 그동안 KLPGA에서 23, 24 시즌동안 1~6승을 거둔 선수 25명, 21~24 시즌 LPGA에서 1~6승을 거둔 선수 50명 총 75명의 위너들 골프채에 대한 리스트를 작성했었는데, 이번 글에서 대단원의 막으로 드라이버, 우드, 유틸리티, 아이언, 웻지, 퍼터까지 모든 골프 클럽 헤드 및 샤프트 선호도를 알아볼 수 있는 표를 만들어 봤다. 클럽 교체 또는 신규 구매자에게 도움이 되길 바란다. 다만 퍼터의 경우는 남성과 여성 프로의 근력에 의한 스펙의 차이가 없어서 세계랭킹 30위까지의 데이터도 함께 표로 만들었다. 퍼터는 104명중에서 10명만이 똑같은 모델을 사용하기 때문에 시리즈 명으로 사용량 순위를 집계했다. 트렌드에 대한 인사이트만으로는 부족한 골퍼는 맨 아래, 각 클럽별 전..
2002년생인 문정민 프로는 2021년도에 KLPGA 정회원이 된 후, 2022 시즌부터 본격적인 정규투어 생활을 하였는데 27개 대회에 참가하여 12번의 컷탈락을 하고 그해 상금 1.15억원(75위)로 시즌 아웃을 하며 시드권을 잃을 상황이었으나 시드순위전에서 2023 시즌 조건부 시드권을 획득을 하였다. 그러나 루키로서 적응이 힘들었던 탓인지 23시즌에도 정규투어(17대회), 드림투어(15대회)를 오가며 정규시즌 최고성적 공동 2위까지 하며 가능성을 보이다가, 2024년 9월 22일 '대보 하우스디 오픈' 결승에서 총 합계 9언더파로 지한솔 프로(2타차), 이예원, 장수연 프로(3타차)를 제치고 첫 우승컵을 들어 올리며 KLPGA투어 위너클럽에 들어갔다. 금번 우승으로 2025 시즌 풀시드권을 획..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