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팅할 때 거리감은 개인의 근력, 잔디의 상태, 습도, 라이 등에 의해 편차가 큽니다. 라운드 당일 연습그린과 첫홀의 실제 그린에서 얻은 감으로 이끌어내야 하기 때문에 이번 글에서는 퍼팅을 할 때 방향성을 좋게 하는 방법만을 적어 보겠습니다. 전반적으로 좋은 방향성을 위해 알아야할 개념과 퍼팅 스타일에 따른 변화. 그립의 변경 및 방향성을 위한 드릴과 근본적으로 퍼터 방향성을 좋게 하기 위해 알아야 할 기본 개념을 설명해 보겠습니다. 퍼터헤드가 무거워질수록 방향성이 좋아집니다. 일례로 맨손으로 걸어다니실 때와 핸드폰을 한손에 쥐고 걸어가실 때를 생각해 보시면 좋습니다. 맨손으로 걸으실때는 아마도 손이 허벅지를 스치는 일이 별루 없지만 핸드폰 또는 음료수 캔등 비교적 가볍지만 손끝에 무게가 실릴수록 ..
그린 및 주변에서의 깨알팁들을 적어보도록 하겠습니다. 비슷한 상황이 오시면 한번 활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우선은 그린주변 에이프런에서 퍼터를 많이 쓰는 것이 좋습니다. 퍼터로 홀을 공략하는 것이 웻지보다 홀에서 많이 벗어나는 미스를 줄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한 가지 문제점은 거리감입니다. 풀의 높이에 따라 거리 보정을 해야하는데 쉽지 않습니다. 보통은 잔디의 저항으로 볼이 홀에 못미치는 상황이 많습니다. 이럴 때는 거리는 평소와 똑같이 치시되 그립을 왼쪽 허벅지 안쪽까지 가져가는 핸드 퍼스트로 쳐보십시오. 이렇게 핸드 퍼스트자세로 스트로크를 하면 볼의 출발이 살짝 떠서 에이프런의 잔디의 마찰을 줄이고 핸드 퍼스트 한만큼 일반 그립 위치보다 힘을 더 받아서 홀까지 좀더 힘차게 굴러서 홀컵 근처에 ..
퍼터의 거리를 조정하는 방법은 여러가지입니다. 평지기준으로 볼 한개당 1M, 클럽 길이당 3M, 3CM의 백스트로크당 1M의 거리를 나간다는 공식 외에도 거리조절의 여러방법이 있습니다만 실제 라운드시 그린에서 거리를 맞추기란 쉽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보통은 기준의 전제가 틀리기 때문입니다. 위에 써있는 방법으로 자신의 퍼팅거리를 보통은 연습장에서 정합니다. 조금 더 실제와 같게 하기 위해서는 돈을 들여서 사둔 퍼팅매트의 느린그린을 선택하지만 이 마저도 실제의 그린과의 스피드에는 괴리가 있습니다. 보통은 연습장이던 집에 깔려있는 연습매트던 저항이 실제 잔디보다는 덜하기 때문에 훨씬 잘 굴러가는 편입니다. 또한 전국의 모든 골프장의 그린스피드는 천차만별입니다. 스팀프 미터로 그린스피드를 측정한다 하더라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