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번 글에서는 저 세상 레벨인 정련된 쌍 배제 공식(APE) type1에 대해 알아 봤는데 이번 글에서는 type2에 대한 것을 알아 보도록 하겠다. 혹시 Aligned Pair Exclusion 또는 Almost Locked Sets에 대해 처음 접하는 스도커는 아래 링크를 순서대로 익히고 이 글로 오면 좋을 거 같다. APE는 모든 칸은 최대 9개의 후보숫자로부터 일단 VWXYZ > VXYZ > VXY > XY형태로 점차적으로 줄여 나가고 궁극적으로는 풀하우스 X값 한개만 찾는 것을 목표로 하는 개념에서 XYZ 형태의 3개의 후보숫자 중 1개를 제거 하여 XY/YZ/ZX의 형태로 만들기 위해 참조하는 XY, XZ, ZX, WX 등의 이중값을 갖는 후보숫자에서 힌트를 얻는 공식이다. 움짤로 ..
이번 글에서는 저 세상 레벨에 속하는 스도쿠 기술인 Aligned Pair Exclusion(APE)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APE는 한국어로 변환하자면 정렬된 쌍 배제' 정도 되겠다. 2가지의 타입이 있는데 이번 글에서는 TYPE 1에 대해서만 알아보도록 하겠다. 한 번에 1,2 모두 보면 머리가 터질 수도 있다. APE는 풀하우스가 되기 직전의 후보숫자들의 조합 즉, 이중위치를 갖는다는 성질을 이용하는 스도쿠 공식으로 형태는 XY윙, XYZ윙, WXYZ윙과 비슷한 패턴을 띄지만 접근방식은 전혀 다르다. 패턴 자체는 BUG에 좀 가까워 보인다. 움짤예제 0. BUG 패턴 - APE와 마찬가지로 마지막 남은 3개 남은 후보숫자를 이중값을 갖는 숫자에서 추론하는데, 방식이 다르긴 하다. 하지..
이번 글에서는 지난 포스티엥서 쓴 ALS와 비슷한 풀이법을 가진 수-드-콕(Sue-De-Coq) 이라는 스도쿠 기술에 대해 알아 보도록 하겠다. 명칭의 유래는 발견자인 수-드-콕(Sue-De-Coq) 박사(?)의 이름을 붙인 것이고 작동원리는 거의 잠긴 세트(=ALS)라는 공식과 궤를 같이 한다. 다만 나는 이 기술을 사용하는 방법은 설명할 수 있지만 증명할 수는 없다. ALS 기초 개념을 알면 이해하는데는 어렵지 않다. ALS에 대한 것은 아래에 적겠다. 수-드-콕(Sue-De-Coq)은 찾기가 용이해서(경우에 따라서는 암산도 가능한) 고급 기술로 적어 본다. 처음 접하는 스도커는 아마 WXYZ윙과 닮았다고 느낄 수도 있다. 맞다. 눈에 보이는 패턴은 비슷하지만 접근이 전혀 다르다~ 일단 A..
이번 글에서는 Almost Locked Sets라고 불리는 저 세상 공식들에 준하는 고급으로 바꾼다. 이해하고 찾다보면 세상 쉽고 유용한 공식이 되겠다. 다만 찾기가 쉽지 않다. 또한 다른 페이지를 빌어서 증명해 보겠지만 XY 체인을 찾는데도 매우 좋은 공식이다. 그리고 단일 숫자로 연결되는 체인 외에 2개 이상이 결합되는 체인에서는 근본이라고 생각한다. ALS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명칭에서 알 수 있듯이 거의 잠긴 세트 또는 준 잠긴 세트 정도로 보면 되겠다. 글로만 설명하면 어려우니 움짤 예제를 보면서 개념을 바로 익혀나가도록 하자. 2개의 규칙이 있는데 RULE1(고급 공식), RULE2(준 저세상 공식)라고 구분하겠다. 예제는 칸의 ALS를 열결하는 칸의 후보숫자가 2개 + 3개 이렇게 ..
이번 글에서는 XY윙 > XYZ윙에서 좀 더 확장된 개념인 WXYZ윙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명칭에서 알 수 있듯이 4개의 미지수가 1개의 하우스가 아닌 2개 이상의 하우스에 걸쳐서 확실한 쿼드러플을 이룰 때, 다른 칸의 후보숫자를 제거하는 공식이 되겠다. 느낌은 4개의 확실한 쿼드러플 상태일 때 잠긴 세트에 맞는 후보 숫자 중에 페어, 트리플, 쿼드제거를 한다고 보면 되겠다. (이 글은 최소한 XY윙은 이해하는 스도커가 본다고 가정하고 쓴다. 만약 위의 XY윙 공식을 모른다면 일단 알아보고 오자.) 스도쿠 8. X윙, Y윙, XY윙 공식을 알아보자 XY윙이나 XYZ윙이 좀 정형화 되어 있다면 WXYZ윙은 숫자가 조합되는 가지수가 많아서 정형화 되지 않아 헷갈리기 쉽지만 개념만 확실한 쿼드러플에 대..
이번 글에서는 스도쿠를 풀다가 종반에 칸의 갯수에 상관없이 한 칸만 3개의 후부숫자가 있고 나머지 모든 칸이 이중위치, 즉 2개의 후보숫자만 남아 있는 경우에 특별한 공식을 쓰지 않고 쉽게 직관적으로 트리거가 되는 후보숫자를 확정할 수 있는 BUG라는 공식에 대해 알아 보도록 하겠다. Bi-Value Universal Grave(보편적인 이중위치 값 무덤) 줄여서 BUG라고 칭하는데, 기술의 성질상 BUG를 쓸 상황이 되었을 경우, 유일하게 3개의 후보숫자가 남은 칸의 후보숫자의 결과에에 따라 답이 2개가 되는 치명적인 모순이 발생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이런 이중값의 모순을 제거하는 개념이라고 보면 되겠다. 역시 말로 스도쿠를 설명하기는 어렵다. 우선 공식을 적용하는 방법을 움짤로..
이번 글에서는 스도쿠에 존재하는 전략 중에 내가 이해할 수 있는 마지막 기술인 '셀 포싱 체인'에 대한 글을 쓰도록 하겠다. 개념은 이전 글인 '유닛 포싱 체인'과 비슷한데, 81개 칸 중에 1개 단위인 Cell = 칸에 대한 강제적인 체인 기술로 2~4개의 후보숫자가 모두 On 또는 Off가 되는 경우 원인이 되는 후보숫자를 제거하는 기술로 알아두면 될 거 같다. 또한 우리가 인게임에서 만나는 빈도는 적을 것이고, 만나더라도 발견이 힘들 거라고 생각하지만 스도쿠에 대한 개념 확장(위크링크로 스타트 한다.)을 위해 알아 두면 좋겠다고 본다. 그럼 바로 출발~ (모든 자료 출처는 '스도쿠 위키'다. 유용한 사이트니 한 번 방문해 보길 강추한다. 앱은 101점 짜린데, 인터페이스가 별루라서 비추하지만 스..
이번 글에서는 우리가 알던 스도쿠 기술과 좀 다른 저 세상 느낌이 드는 유니크한 전략인 '유닛 포싱 체인(Unit Forcing Chains, 뒤에는 UFC라고 칭하겠다.)'에 대해 알아 보도록 하겠다. 인게임에서 만나기도 어려울 거고 찾기도 어렵겠다는 생각은 하지만, 일단 재미있는 체인 공식이기도 하고, UFC 개념 자체는 간단하니 익혀두면 좋을 것 같다. 이 글에서는 Tripe UFC 및 Quard UFC만 올리는데 당연히 Dual UFC도 가능하지만, 예제 찾기가 힘들다. 트리플 및 쿼드를 이해하면 듀얼은 당연히 이해가 될 거라고 본다. 본 글에 쓰인 예제는 '스도쿠 위키'라는 사이트에서 차용했다. 움짤 1. Triple UFC 1. 위의 움짤을 보면 2[A2], 2[A3], 2[A5]에 존재..
이번 글에서는 KLPGA에서 2023, 2024시즌-LPGA에서 2021~2024년도까지 1승이라도 있는 프로골퍼들의 골프 장비를 드라이버 비거리 내림차순으로 정리해 보겠다. 248.8M > 213.4M 골프클럽을 교체하려는 아마 골퍼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사용되는 품목중에 드라이버 비거리는 런거리 포함이다. 그리고 양해를 구할 점은 일부 선수는 샤프트 스펙이 누락된 경우가 있다. 그래도 헤드 스펙이 도움이 될까해서 올린다. 파티 타바탄나킷 - 2승 - 248.8M드라이버Ping G410 LST - 9Fujikura Speeder 569 Evolution VII S우드(3번)Ping G425 Max - 14.5Fujikura Ventus Blue 6유틸리티Ping G425 - 19Fujikur..
이번 글에서는 불꽃놀이(Fireworks)라는 공식에 대해 알아 보도록 하겠다. 개념은 매우 간단하다. 한마디로 설명하면 'L자 또는 ㄱ자로 꺾여서 마주보는 박스 3칸에서 숨겨진 트리플을 찾는 것.'이다. 불꽃놀이라는 낭만적인 명칭이 붙은 이유는 내피셜로는 게임 초기에 발견만 하면 불꽃이 터지듯이 여기 저기에 해가 뻥뻥 터지며 찾아져서 마지막 풀하우스까지 거침없이 나갈 수 있어서 붙여진 거 같다. 1. 불꽃놀이(Fireworks) L자로 꺾인 3개의 칸에 숨겨진 트리플을 찾는 간단한 공식에 붙은 명칭으로 게임 초반에 찾기만 하면 다른 해가 불꽃놀이 터지듯이 연쇄적으로 찾아지는 공식이다. 1/2/3[A1]1/2/3[A9]1/2[I9]가 잠긴 숨겨진 트리플(Locke Hidden Triple)을 이루어..
이번 글에서는 2X2인 사각형으로 이루어진 (페어) 유니크 렉탱글에 이어서 2X3의 날일(日)의 형태로 이루어진 확장된(=트리플) 유니크 렉탱글에 대해 알아 보도록 하겠다. 최소 1개~ 최대 14개(는 희박하고 대략 6개) 까지의 후보숫자를 제거할 수 있어서 게임의 트리거가 되는 경우가 많으니 익혀두면 매우 공식이다. 이 글은 일반 (페어) 유니크 렉탱글에 대해 알고 있다고 가정하고 글을 쓰지만 몰라도 패턴이 있기 때문에 일단 먼저 보고, 아래 링크에서 2X2 유니크 렉탱글도 함께 보면 좋겠다고 본다. 움짤로 익히는 스도쿠 8. 유니크 렉탱글 Part 1.(Type1,2)움짤로 익히는 스도쿠 9. 유니크 렉탱글 Part 2.(Type3)움짤로 익히는 스도쿠 10. (히든) 유니크 렉탱글 Part 3.(..
이번 글에서는 XY(+AIC) 체인공식의 일종이지만 형태만 단일 체인이 아닌 여러개의 체인이 혼재하는 네트를 형성하는 3D 메두사(=3D Medusa) 라는 스도쿠 공식에 대해 알아 보도록 하겠다. 명칭의 유래는 아무래도 아래 움짤과 같이 체인의 추적을 한개의 방향이 아닌 2개의 방향으로 찾는 경우도 많기에 기본 링크의 갯수가 많고 확장도 많이 되서 메두사의 머리처럼 복잡하게 얽히고 머리가 늘어나면서 그물 같은 네트의 형태를 위하고 있어서 붙인 것 같다. 아니면 거의 모든 유형이 성립되면 해를 한꺼번에 많이 찾아서 메두사 머리 같다고 해서 붙여진 명칭일 수도 있다. 다만 3차원의 의미 같은데.. 3D를 붙인 이유는 잘 모르겠다. 다만 아는 것은 보스 이름이 붙을 정도로 강력한 힘을 낸다. 움짤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