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골퍼는 에임한대로 볼이 날아가고, 아마추어골퍼는 걱정한대로 볼이 날아간다는 말이 있습니다. 안타깝게도 저도 이런 경험이 많았습니다. 특히나 물어보지도 않았는데, 경기도우미가 '이번 홀은 슬라이스 홀입니다. 주의하시기 바랍니다.'라는 말을 듣는 순간 슬라이스라는 단어에 사로잡혀 신경쓰다 보면 슬라이스가 나는 경우로 OB가 발생하거나, 과도한 훅성 구질로 OB가 발생되는 경우가 왕왕 있습니다. 이렇게 걱정한대로 볼이 날아가서 난처해지기만 하면 입스가 오는 경우도 가끔 있습니다. 차라리 거꾸로 생각해서 볼을 치시기 전에 '너무 잘 치면 어떻하나?'라는 걱정을 해보는 발상의 전환을 해보면 어떨까 싶습니다. 이번에는 제가 4년의 구력 동안 스크린골프 20여회, 실제 라운드 100여회를 거치면서 터득한 골프 라..
라운드를 갔는데 몇일 또는 몇주전의 라운드와는 확연히 다른 컨디션을 가지고 볼이 잘 안맞는 경우가 생깁니다. 제가 겪어본 라운드시 트러블과 그런 트러블을 겪다가 알게된 해결책 몇가지를 써보고자 합니다. 급작스러운 구질의 변화, 벙커샷 탈출이 갑자기 안되는 상황, 티샷 난조로 인한 OB발생, 홀컵보다 많이 지나가는 퍼터, 볼의 탄도 변화 및 파3홀 아이언 티샷 백스핀 주는 방법순으로 설명하겠습니다. 비슷한 상황이 생길 때 한번 따라해보시고 잘 되면 '따봉' 한번 외쳐 주십시오. 최근 1년동안 스트레이트성이나 드로우성 구질을 가진 사람이 라운드 당일 갑자기 푸쉬나 페이드성 구질이 발생할때 여간 당황스러운 일이 아닐 겁니다. 이유를 따지면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대부분 임팩트시 손목이 굳어 있거나 몸의 상태가 좋..
골프구력이 늘어갈수록 더욱 더 치중하는 클럽이 아마도 웻지나 퍼터가 아닐까 싶습니다. 그 중에서 어프로치에 대해 말을 하고자 하는데요. 띄우던 굴리던지간에 어프로치시 중요한 점을 나열하자면 많겠지만, 딱 한 가지만 말씀 드리겠습니다. 너무 간단해서 안 믿길 수도 있습니다만, 어프로치 잘하는 방법은 '그립을 짧게 잡는다.'입니다. 비단 짧게 잡는 다는 것은 어프로치 뿐만 아니라 모든 상황에서 콘트롤을 좋게 해주는 원동력이 됩니다. 그립을 짧게 잡으면 분명히 비거리는 줄어 듭니다만 골프에서 가장 중요한 방향성이 좋아집니다. 비거리냐? 방향성이냐? 이것은 언제나 딜레마 이지만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기 보다는 두 가지의 요소가 모두 조화를 이루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그립을 내려 잡습니다. 그립은 내려 잡으면 ..
드라이버는 골프 치는 동안 끊임없이 향상해야 잘 치는 클럽임은 분명합니다. 그러나 드라이버에서 어드레스시 준비만 철저히 해도 현재보다는 좀더 좋은 탄도 및 구질로 드라이버를 공략 하실 거라고 봅니다. 티샷을 이용한 굿샷, 에임한 방향성을 향상 시켜줘서 하는 굿샷, 어드레스 장소만 잘 잡아도 되는 좋은 샷 및 볼의 종류를 달리하는 꼼수까지의 순으로 글을 적어보겠습니다. 말로하면 많지만 실제로 그 준비는 의외로 간단하니 꼭 따라해 보시길 권합니다. 드라이버샷의 큰 이점은 퍼터와 함께 유일하게 우리가 원하는대로 공을 세팅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중요한 세팅에서 으뜸은 티높이를 맞추는 것인데, 어떤이는 소지를 세워서 티를 꼽다가 소지 끝이 지면과 닿으면 그 높이가 자신의 티높이로 정합니다. 또 어떤이는 감으로 ..
동반자들과 라운드를 하다가 자주 묻는 질문중에 하나는 "너 7번 아이언 몇M 거리를 보냐?"는 말이 아닐까 싶습니다. 저의 경우에는 골프엘보가 오기전에는 7번 아이언은 캐리거리 140M를 보고 나머지 클럽들은 10M 내외의 편차를 주려고 했습니다만, 현재는 130M 정도의 캐리거리 및 그에 따른 다른 클럽의 비거리를 계산합니다. 당연히 웻지나 3번 및 5번 우드도 7번 아이언 거리에 따라 계산을 합니다. 그런데 유독 1번 우드인 드라이버만큼은 100이면 99명은 비거리의 리미트가 없습니다. 그저 많이 나가면 최고라고 생각합니다. 이제는 그런 생각을 바꾸어야 할때가 아닌가 싶습니다. 비거리의 3요소라고 생각하는 것이 있습니다. 헤드스피드, 적정한 백스핀량 및 정타확률이 우리가 치는 드라이버의 비거리를 결정..
많은 교습가들은 드라이버 티샷때 티높이는 공을 올려놓고 자신의 클럽헤드면과 크라운부위가 만나는 높이에서 골프공의 적도부위와 만나거나 3분의 2 지점까지 맞추라고 합니다. 제가 생각할 때 이 말은 맞기도 하면서 틀리기도 하다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자신이 가진 클럽헤드의 타입이 샬로우페이스타입도 있고 딥페이스가 있고, 제일 중요한 것은 모든 사람의 스윙이 다르다는 것입니다. 위의 말한대로 교습가들 말을 듣고 공의 적도와 크라운 높이를 맞췄을 때 어퍼블로샷으로 올려 치는 사람, 반대로 다운블로로 찍어치는 경우가 나오는 사람 등등의 경우의 수가 발생합니다. 그래서 제일 좋은 것은 모든 말은 참고로 하시고 자신에게 맞는 티높이를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연습장에 가시면 티높이를 바꾸어 가면서 쳐보시면 자신에게 알..
드라이버 비거리를 늘리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본인에게 맞는 방법 취사 선택하시길 바라며 바로 시작해보겠습니다. 아주 진부한 이야기 입니다만 드라이버 비거리 향상을 위해서는 운동을 해야 합니다. 어떤 운동인지는 본인의 판단입니다. 다만 말씀드릴 것은 상체보다는 하체 단련을 하면 비거리는 늘어납니다. '운동합시다.'라고 말은 쉽게 하지만 제일 힘들고 더디게 비거리를 늘리는 방법입니다. 골프 비거리에 대한 원리를 알려드리고 그에 따른 버거리 향상법을 적어보겠습니다. 골프에서 분석하는 요소 중에 하나가 스매쉬팩터라는 단어가 있습니다. 볼의 속도를 클럽헤드스피드로 나눈 값으로 흔히 말하는 오잘공을 치게 되면 대략 1.49가 나오게 됩니다. 가끔 1.51도 나오긴 하는데 몇십번에 한번 나올까 말까합니다. ..
골프는 실수를 줄이는 운동이라고 합니다. 좋은 샷을 날리는 것보다는 실수를 덜 하면 좋은 스코어가 나온다는 말이고, 대부분의 아마추어 골퍼들도 동감하는 말이라고 봅니다. 제가 볼때는 골프에서의 실수는 두가지로 분류 할수 있을 거 같습니다. 첫 번째는 꾸준한 연습과 운동에서 오는 골프 스윙의 메커니즘에서의 실수가 있다고 봅니다. 골프 라운드마다 본인의 몸상태나 연습의 양이 항상 같지 않아 최대한 동일한 조건에서의 드라이버, 아이언 티샷임에도 정타를 맞추지 못하는 스윙의 실수가 있다고 봅니다. 두 번째로는 실질적인 라운드 운용능력 외의 요소들에 의한 실수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샷을 제외한 조금만 신경 써도 고칠 수 있는 골프에서의 실수 및 해결방법을 적어보고자 합니다. 지극히 주관적인 의견이니..
이번 글에서는 저도 경험한 방법으로 정교한 어프로치로 좋은 스코어를 내는 방법을 알려 드리겠습니다. 거창하게 연습을 많이 해야 한다. 갖가지 종류의 웻지를 연습하는 시간을 늘려야 한다. 각각의 웨지가 1:1, 1:2 등의 비율로 굴러가는 거리를 정확히 머리와 몸이 기억해야 한다는 말씀은 드리지 않겠습니다. 아주 간단하게 한 가지의 습관만 가지면 좋은 볼스트라이킹에 의한 어프로치를 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 드리겠습니다. 아래의 사진은 '제7회 KG.이데일리 레이디스 오픈'에 참가한 김혜윤 프로의 어프로치 샷인데 에이프런 근처의 평지임에도 불구하고 그립을 유심히 보시면 우리가 보통 잡는 거보다 거의 1인치는 내려 잡은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비단 김혜윤 선수 뿐만 아니라 거의 모든 프로 골퍼들이 짧은 거리..
골프를 치면서 제일 딜레마인 것이 분명 잘 될거 같은데, 잘 되고도 남아야 할 구력인데 안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뭐 저도 당연히 그렇습니다. 라이프 베스트 86타에서 1타 줄이는데 1년이 걸렸습니다. 골프 스코어를 줄이는 좋은 방법은 많은 연습과 피팅으로 장비를 내 몸에 맞추고 날이면 날마다 라운드를 다니면 금상첨화겠으나 저를 비롯한 많은 샐러리맨인 주말골퍼들은 매우 힘든 일입니다. 그러면 현재의 골프 라이프에서 변화를 주지 않고 타수를 1타라도 낮출 수 있는 저의 경험을 들려 드리겠습니다. 숏게임 중에서 어프로치 샷에 대해 먼저 말씀 드리겠습니다. 그립을 내려 잡습니다. 그립을 평소보다 1인치 내려서 짧은 거리의 어프로치를 해보시길 권합니다. 1인치 내려 잡는다고 뭐가 바뀔까 싶겠지만, 임팩트가 바뀝니..
골프 라운드를 하다보면 평소와 다르게 골프공이 잘 안 맞을 때가 있습니다. 그러면 우리는 언젠가부터인지는 모르는데, '내 탓이오.'라는 결론으로 귀결 시킬 때가 많습니다. 그런데 꼭 내 연습의 부족, 스윙의 매커니즘 불이해 만으로 샷이 안될까요? 저의 생각엔 꼭 그렇지만 않다고 믿습니다. 프로골퍼들만큼의 연습량이 있다면 골프장의 어떤 변화에도 능동적으로 대처하겠지만 저와 같이 주말 골퍼로서는 힘든 일입니다. 이번 게시글에서는 실제 필드에서 조금만 주의를 기울이면 실수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순수한 아마추어 주말골퍼 입장에서 샷에 큰 변화를 주지 않고 당장 응급으로 써먹을 수 있는 몇 가지 팁을 알려드리겠습니다. 티박스에 들어서면 최대한 평평한 곳을 찾습니다. 우리가 연습장에서 하던 티샷과 실제 라운드에서..
저는 스카이72 오션코스를 제일 좋아합니다. 작년 총 30라운드중에서 17번을 스카이로 갔고 그중에 반이 오션코스더군요. 양잔디와 바닷바람 및 탁 트인 시야가 좋죠. 2015년도에 회사 땡땡이 치고 '2015 LPGA KEB 하나은행 챔피언십' 대회 구경 갔다가 빠져 버렸죠. 아직도 박인비 프로, 리디아고 프로, 렉시톰슨선수의 퍼펙트한 샷과, 그 긴 러프에서도 자연스럽게 파세이브를 하는 의연함. 얼마나 운동을 많이 했는지 드라이버샷을 할 때의 힘쓰는 근육의 모습. 모든 게 아직도 눈에 선합니다. 작년 마지막 라운드도 역시나 오션코스로 갔는데, 후반 인코스중에서 14번홀 파4에 365미터의 비교적 짧은 거리를 가진 홀이었는데 티샷을 미스했습니다. 다행히 죽지는 않았는데, 홀을 190M 남긴 페어웨이 벙커에..
골프 뿐만 아니고 그 외의 것들을 잘함에 있어서 시간과 노력이 분명히 많이 필요합니다. 그러나 모든 것에는 내가 겪어보지 못할 때는 어렵지만 알고 나면 쉬운 것들이 분명 있고, 퍼팅을 잘하는 것에 있어서도 분명 꼼수 아닌 꼼수가 있다고 봅니다. 밑에는 지극히 주관적인 저의 의견입니다. 따라해 보시고 잘 안되시면 덧글로 욕 한번 하고 하시던 대로 퍼팅 하시면 되겠습니다. 자 그럼 각설하고 제가 아는 퍼팅 노하우를 적어 보겠습니다. 첫째. 그립은 짧게 잡는다. 여성분들의 퍼터의 길이는 잘 모르겠지만 동반자들의 퍼터 길이를 보면 34"가 대부분의 샤프트 길이입니다. 자신에게 맞는 퍼터의 길이 재는 공식이 있는데 설명하면 너무 길어지니까 핵심을 말씀 드리면 180cm 부근의 키가 아니시라면 34"는 콘트롤 하기..
한때 겉멋이 들어서 웻지 세팅을 이렇게 했습니다. 52도, 56도, 60도 타이틀리스트 보키 SM5를 썼습니다. 2~3번의 라운드에서 60도를 쓸일이 거의 없지만 30m이내의 거리에서 60도 웻지를 써서 백스핀이 걸리면서 구름이 없이 골프공을 정말 가뭄에 콩나듯 한번 성공 시키면 드라이버 티샷이 잘 맞았을 때만큼의 희열이 생겨서 열에 여덟번은 실패를 하지만 나머지 두번의 성공을 기원하며 스코어를 무시하는 경우가 생기던 때가 있었습니다. 같이 골프를 자주 즐기는 형님 중에 철공소 사장님이 계셨습니다. 그 형님이 어프로치를 하는데 비장의 무기라고 캐디백에서 꺼내 오시면서 자랑하기를 3번 아이언 헤드에 웻지에 쓰는 샤프트를 용접을 해왔다고 했습니다. 처음엔 '뭐지? 형님이 오늘 스코어 포기하셨나?'라는 의구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