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에서의 한국 웹툰 플래폼 및 만화(=웹툰) 인기의 위치를 한 번 알아 보도록 하겠다. 정말 뉴스에서 떠드는 대로 일본인들이 한국 웹툰에 열광하는지 궁금했었다. 일단 아래의 표를 보자. 위의 그림은 니혼닷컴 기사에 인용된 일본 국내 '만화 추정 판매금액 추이'다 2023년도에 종이 및 전자 만화책 판매액이 6,937억엔이다. 한화로는 대략 6조 2400억원 정도이다. 2018년 일본 만화 시장규모가 4,414억엔이었던 것을 보면 2,517억엔의 성장을 했다. 아래 신문기사는 테크엠이라는 신문사에서 작성한 기사인데. 카카오 픽코마 및 네이버 망가 매출을 합쳐서 2,000억엔(일본 만화 매출의 28.8%, 웹툰 앱 매출의 약 48%) 정도 된다고 한다. 분명 한국 웹툰 앱이 일본 내에서 영향력이 ..
얼마전에 타계하신 '토리야마 아키라'선생을 생각하며 소장 중인 드래곤 볼을 읽던 중에 내가 재미 있게 본 일본만화책이 뭐가 있나 한 번 조사해 봤더니 꽤 많더라고요. 그래서 리스트를 작성해 봤습니다. 딱 제 마음속의 1순위 드래곤볼이 있고(올림픽공원으로 소풍 갔을 때 친구가 들고 와서 보여준 1권을 볼 때 감동이 아직도 기억이 납니다.) 리스트는 순위 없이 가나다 순으로 정리 했습니다. 아 언제 리스트 다 보냐 싶은 분에게 딱 3개만 추천 드릴께요. 1번 타자 '더 페이블' 2번 타자 '스파이 패밀리' 3번 타자 ' 단다단' 입니다. 1,000만부 이상 팔린 역대 일본 만화책 순위(24.12.3 기준) 1,000만부 이상 팔린 역대 일본 만화책 순위(24.12.3 기준)이번 글에서는 1,000만부 이상..
영화 '말모이'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최초의 '우리말 큰사전'을 한글 사전의 시초로 아는 사람이 많습니다. 그런데 '우리말 큰사전'이 발행되기 10년전인 1938년에 청람 문세영 선생 개인이 십 수년을 노력을 경주하여 만든 최초의 한글 사전인 '조선어사전'이 발행 되었다. 그 최초의 한글 사전인 10여만 단어 및 어휘를 수록한 '조선어사전'에 대해 간략하게 당시 신문을 보며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938년 7월 20일, 매일신보 3면에 아래와 같은 기사가 실렸습니다. "蘊蓄、四十餘星霜 온축, 사십여성상 온축- 오랫동안 학식 따위를 많이 쌓음 / 성상- 햇수를 비유적으로 나타내는 단위朝鮮語辭典編纂조선어사전편찬語彙實로十萬餘・文世榮氏의偉業어휘실로십만여 ・문세영씨의위업 『조선어사전』이나왓다 수만여 의 어휘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