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작년 2016년 봄에, 골프시즌 오픈을 스카이72 하늘코스를 토요일, 일요일 이렇게 두번을 연이어서 부킹을 잡았습니다. 첫날에는 웻지로 80M정도 풀스윙을 하는데, 이게 웬일입니까? 슬라이스가 발생해서 OB로 벌타를 받게 되는겁니다. 두번 정도 웻지와 아이언으로 슬라이스가 발생하니 소극적이 되어 원래 클럽의 거리보다 20M는 덜 보내는 스윙을 하게 되었습니다. 이런 클럽들이 그런데 드라이버는 오죽했겠습니까? 그날의 스코어는 엉망으로 끝이났고 그 다음날은 응급처치를 했지만 좀처럼 슬라이스의 악몽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이대로 골프 접는건 아닌가 하는 생각도 했습니다. 사족입니다만 확실히 머슬백 타입인 웻지가 슬라이스의 정도가 엄청납니다. 웻지 슬라이스 겪어본 자만이 그 공포를 절실하게 느낍니다. ..
아이언샷을 하면 왜 골프공 뒤로 디봇이 남을까요? 우드샷을 하면 왜 뒷땅이 많이 발생할까요? 볼의 위치 때문일 수도 있지만, 근본적으로는 무게 중심 때문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무게중심에 따른 각 클럽별 스윙방법을 알려 드리겠습니다. 쉬운 개념이니 뒷땅 많이치고 탑볼 많이 치시는 분들은 꼭 한번 읽어 보시기 바랍니다. 아이언을 스윙할때 프로골퍼의 경우는 대부분 볼 뒤에 디봇이 생깁니다. 그 이유는 동영상을 찾아 보시면 임팩트시 프로골퍼의 머리가 처음 어드레스때보다는 체중이동으로 인해 볼뒤로 이동해 있는 것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이런 이유로 뒷땅을 치거나 탑볼을 치는 상황에 적용해 보시면 됩니다. 아이언 같은 경우는 다운블로로 볼의 적도 윗부분을 클럽페이스로 먼저 가격해야 설계대로 ..
백스윙을 할때 탑의 위치에서 오른쪽 팔꿈치는 지면을 바라보면 견고하고 최대한 공에서 먼 위치에 클럽이 위치하면서 큰힘을 만들 수 있습니다. 그런데 누군가가 유심히 봐주지 않으면 우리 아마추어 골퍼들은 팔꿈치가 지면이 아닌 몸의 뒷쪽을 바라보는 소위 플라잉 엘보의 모양을 많이 취하게 되어 적은 거리의 백스윙 탑포지션과 다운스윙시 원래의 어드레스 위치로 손을 가져오기 힘들어 원하는 구질을 내기 힘듭니다. 반대로 임팩트시에 왼팔과 오른팔이 쭉 펴지고 팔로우 스루에서는 백스윙과 반대로 왼팔이 접히면서 왼쪽 팔꿈치가 지면을 향해야 하는데, 팔에 힘을 많이 주거나 얼리익스텐션으로 인한 아웃인 궤도 등의 이유로 왼쪽 팔꿈치가 등쪽으로 향하는 치킨윙이라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치킨윙 현상이 발생하면 클럽헤드가 열리고..
샷을 하는 모든 클럽에서 버거리 늘리는 방법을 적어 보고자 합니다. 개인 아마추어 골퍼로서 글을 쓰는 것이니, 혹여라도 틀린 부분 있다면 지적 부탁 드리며 글을 써내려 가도록 하겠습니다. 첫번째로는 이제는 들으면 귀에 딱지가 앉을 정도의 말입니다. 스윗스팟에 맞추는 노력을 합니다. 골프클럽이 만들어 질때, 설계자가 정해놓은 제일 멀리나가는 부분을 클럽 헤드의 스윗스팟이라고 합니다. 보통 드라이버는 정중앙의 가운데 또는 가운데서 살짝 윗부분이고, 아이언은 정중앙에 글루브 맨밑에서 두번째칸입니다. 임팩트시 스윗스팟에서 1Cm만 벗어나도 5~10M의 거리손실을 봅니다. 그럼 스윗스팟을 어떻게 해야 잘 때리느냐 점검을 하는데 크게 두가지가 있습니다. 시중 골프샵에서 파는 임팩트 마킹 테잎이 있습니다. 감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