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LPGA 프로 골퍼 스탯을 알아보자 II (종합능력지수)
- 프로골퍼/KLPGA
- 2024. 11. 12.
지난 '히팅능력지수' 포스팅에 KLPGA 프로 골퍼 스탯을 알아보자 I (히팅능력지수) 이어 TMI 골프용어(스탯)를 알아보도록 하겠다. 종합능력지수라는 개념은 여러 골프 스탯을 합친 개념으로 이 지수만 보면 프로골퍼의 능력치를 한 눈에 알 수 있다. 모쪼록 골프 용어를 잘 익혀서 좋아하는 프로골퍼의 스탯을 파악해 보고 방송에서 나오는 용어를 정확히 알고 보도록 하자.
스탯 용어는 가능하면 LPGA 투어에서 쓰이는 단어와 매칭시키고자 했다. (같은 목적어인데 표기법이 다른 경우가 있다.)
2. 종합능력지수
종합능력지수는 총 8가지의 스탯 순위를 합산한 지수로 지수가 낮을수록 훌륭한 골프 능력을 지녔다고 보면 된다. (개인적으로는 몇 가지 바꾸는 것이 좀 더 프로골퍼의 능력 지수를 잘 나타낼 수 있을 거 같지만 일단 주최측의 개념으로 알아 보자.)
종합능력지수를 구성하는 스탯은 아래와 같다.
- 1. 평균 타수 순위
- 2. 평균 퍼팅 순위
- 3. 이글수 순위
- 4. 평균 버디 순위 (2. 평균 퍼팅 순위와 겹치는 감이 없지 않다.)
- 5. 벙커 세이브율 순위
- 6. 그린 적중률 순위 [히팅 능력 지수 1번]
- 7. 드라이브 거리 순위 [히팅 능력 지수 2번]
- 8. 페어웨이 안착률 순위 [히팅 능력 지수 3번]
이제 각 용어를 자세히 알아보자
2-1. 평균타수 (Scoring Avg Per Round)
시작은 가볍게 다들 아는 개념인 평균타수인데 전체타수를 홀아웃한 라운드수로 나눈 값인데, 최근에 언론에서 프로골퍼들을 욕하는 부분이기도 하다(나는 좀 이해가 안된다. 안될 게임은 빨리 포기하고 컨디션 조절을 하는 게 프로라고 본다. LPGA선수들은 참가대회 자체를 정해서 컨디션 조절을 한다. KLPGA 협회에서 대회 미참가자에게 패널티를 주는 것은 이해가 되지 않는다.)
여튼 평균타수가 떨어질 것 같거나 컷탈락할 거 같으면 기권을 하는 경우가 있는데, 기권한 선수들의 기록은 평균 타수에 합산 되지 않는다. KLPGA 협회에서는 정규대회수 대비 30% 이상의 대회에 참가한 선수만 평균값에 합산시킨다.
그래서 실제로 24년도 KLPGA 투어에 참가한 전체 선수들 (243명)의 평균타수는 73.5타이지만 30% 미만의 대회 참가선수를 빼고 평균값과 순위를 매겨서 실제로 협회 홈피에는 121명의 평균타수가 72.31타로 나온다. 다른 기록 또한 위에 말한대로 정규 투어 대회의 30% 이상 참가한 선수만 공식기록으로 남는다.
2-2. 평균 퍼팅 (Putts Per Round Avg)
전체 퍼팅 갯수를 총라운드수로 나눈 값으로 투어 평균값은 30.34개이고 1등은 김세은 프로로 28.84개를 기록 중이다.
2-3. 이글수 (Total Eagles)
투어 시즌동안 기록한 이글의 갯수를 기록하고 순위를 매긴 것인데 개인적으로는 이글 갯수도 중요한 능력 지수중에 한 가지겠지만 그린 적중률에 포함이 되기도 하고, 투어에 참가하는 선수들이 모두 하는 기록이 아니기 때문에 종합 능력 지수에서 빼는 것이 맞다고 본다.
이글 갯수 순위는 5개 - 1위 / 4개 - 2위 / 3개 - 3위, 2개 - 갑자기 14위(세보지 않아도 3위가 11명 일 것이다.) , 1개 - 또 갑자기 26위(세보지 않아도 14위가 12명일 것이다.) 그럼 이글 갯수 0개는 몇위일까? 76위이다.
이글수를 종합 능력 지수에 넣으려면 공동순위가 있더라도 5개 - 1위, 4개 - 2위, 3개 - 3위, 2개 - 4위, 1개 - 5위, 0개 - 6위로 바꿔야 변별력이 있을 것이라고 본다.
2-4. 평균 버디 (Birdie or Better Average)
총 버디수 개수를 18홀까지 홀아웃한 라운드 수로 나눈 값으로 투어 평균 2.9개, 1등 윤이나 프로가 4.26개이다. 평균 버디는 하위 개념으로 파3 평균버디, 파4 평균버디, 파5 평균 버디 기록으로 나눠서 각각의 기록을 보면 아이언의 정확도를 확실히 볼 수 있다. LPGA 투어에서는 버디, 이글을 포함한 수치로 기록하는 것으로 보인다.
2-5. 벙커세이브율 (Sand Save Pct)
벙커 세이브율은 그린 주변 벙커에서 파 이상(파, 버디, 이글)을 기록한 갯수를 벙커에 빠진 개수로 나눈 값의 비율을 말한다. 즉, 벙커샷 1회로 홀인을 하던 벙커샷 1회 + 퍼팅 1회로 홀아웃을 하는 경우를 뜻한다. 투어 평균 값은 43.25%이고 윤이나 프로가 79.2%로 1위를 차지 하고 있다.
24시즌 9.22 현재 190명의 선수가 1,931번의 벙커 세이브를 성공 시켰다. (뒤의 리커버리율과 비교)
6. 그린 적중률 - 파온으로 그린 위에 볼이 떨어지는 확률
7. 드라이브 거리 - 모든 클럽을 사용하여 파4, 파5에서 티샷을 했을 때, 볼이 날아간 거리 (OB, 해저드로 간 샷은 제외)
8. 페이웨이 안착률 - 파4, 파5 티샷이 벙커, 러프, OB 구역, 해저드로 가지 않고 페어웨이에 착률하는 확률
에 대해 깊게 알아 보려면 아래 링크에서 확인하자.
KLPGA 프로 골퍼 스탯을 알아보자 I (히팅능력지수)
개인적으로는 리커버리율이 종합능력지수에 반영되야 하지 않나 싶다.
2-6. 리커버리율 또는 스크램블링 (Scrambling Percentage)
파온되지 않은 볼을 숏게임으로 파 이상(파, 버디, 이글) 의 타수로 홀아웃을 하는 비율을 말한다. 벙커세이브율도 리커버리율에 포함 되는 것이 맞는다고 생각을 한다. 24시즌 9.22 현재 243명의 선수가 총 23,844회의 리커버리 샷을 성공 시켰다. 벙커세이브 갯수 1931번과 비교하면 12.34배의 횟수로 파온이 되지 않으면 그린주변 러프 또는 페어웨이에서의 어프로치와 벙커샷의 비율은 12.3 : 1의 비율이라서 위에 말한대로 종합 능력 지수에는 벙커샷과 함께 리커버리율이 반영이 되야. 프로 선수들의 진정한 숏게임 능력치가 나타날 것이라고 생각한다.
좀더 간략하게 이해 하려면
타수 + 퍼팅 + 이글 + 버디 + 벙커세이브 + 히팅 능력지수 << 이런 스탯을 합친 것이 종합 능력 지수이다.
종합능력지수 10위까지의 선수의 순위 말고 실제 기록수치를 표로 만들어 봤다. (노란색 표시는 30%) 컴퓨터가 아닌 사람은 아래 더 보기를 눌러서 이미지 파일로 보자
KLPGA 상금순위 Top10 각종스탯 기록표
품목 | 관련 | 관련 |
박지영
|
박현경 |
윤이나
|
이예원
|
노승희
|
황유민
|
배소현
|
전예성
|
이제영
|
이가영
|
종합 능력 지수 | O | 171 | 179 | 98 | 172 | 207 | 164 | 224 | 383 | 236 | 297 | |
히팅 능력 지수 | O | X | 103 | 55 | 60 | 78 | 89 | 110 | 92 | 174 | 108 | 119 |
드라이브 거리 | O | X | 250.8 | 239.5 | 253.5 | 238.5 | 234.0 | 253.4 | 252.3 | 227.2 | 232.9 | 236.5 |
드라이빙 지수 | O | X | 96.0 | 51.0 | 58.0 | 63.0 | 76.0 | 87.0 | 84.0 | 121.0 | 96.0 | 88.0 |
페어웨이 안착률 | O | X | 66.4 | 79.9 | 71.3 | 79.3 | 81.0 | 66.7 | 67.2 | 79.3 | 77.7 | 75.9 |
그린적중률 | O | X | 77.4 | 77.9 | 79.1 | 75.7 | 75.9 | 74.9 | 76.7 | 71.1 | 75.9 | 74.0 |
아이언샷 지수 | 87.1 | 79.2 | 83.8 | 79.6 | 77.2 | 83.0 | 81.9 | 72.2 | 76.5 | 74.9 | ||
리커버리율 | 68.6 | 64.9 | 61.2 | 66.2 | 72.0 | 62.9 | 63.0 | 68.8 | 67.6 | 66.8 | ||
벙커세이브율 | O | 48.1 | 56.3 | 79.2 | 45.9 | 60.0 | 59.5 | 47.2 | 33.3 | 38.7 | 66.7 | |
평균퍼팅 | O | 29.45 | 29.82 | 29.93 | 29.57 | 29.61 | 29.81 | 30.39 | 29.09 | 29.63 | 30.12 | |
버디율 | O | 21.8 | 22.2 | 23.7 | 20.0 | 19.9 | 21.7 | 20.5 | 19.8 | 20.0 | 17.6 | |
평균버디 | 3.93 | 4.00 | 4.26 | 3.60 | 3.58 | 3.90 | 3.69 | 3.56 | 3.61 | 3.16 | ||
파브레이크율 | 22.0 | 22.2 | 24.0 | 20.1 | 19.9 | 21.9 | 20.8 | 19.8 | 20.3 | 17.6 | ||
필드샷과 퍼팅 비율 |
57.8 | 57.5 | 57.2 | 58.0 | 57.8 | 57.8 | 57.0 | 58.8 | 57.6 | 57.7 | ||
평균타수 | O | 69.76 | 70.09 | 69.93 | 70.43 | 70.23 | 70.71 | 70.67 | 70.67 | 70.36 | 71.15 | |
파3성적 | 2.92 | 3.00 | 2.98 | 2.97 | 2.92 | 2.97 | 2.98 | 2.91 | 2.90 | 2.94 | ||
파4성적 | 3.88 | 3.92 | 3.94 | 3.96 | 3.93 | 3.97 | 3.97 | 3.95 | 3.94 | 4.00 | ||
파5성적 | 4.82 | 4.73 | 4.66 | 4.73 | 4.81 | 4.78 | 4.77 | 4.88 | 4.84 | 4.85 | ||
60타대 라운드 획득률 | 50.0 | 46.2 | 36.8 | 40.3 | 38.8 | 37.3 | 32.8 | 35.9 | 43.5 | 24.3 | ||
톱텐 피니쉬율 | 52.9 | 50.0 | 52.6 | 50.0 | 33.3 | 38.9 | 31.8 | 28.6 | 40.9 | 20.8 | ||
상금 (억) | 10.2 | 9.9 | 8.7 | 8.6 | 8.2 | 8.1 | 7.3 | 5.7 | 5.6 | 4.9 | ||
대상포인트 | 436 | 410 | 392 | 405 | 344 | 280 | 337 | 208 | 266 | 188 |
상금순위 20위까지의 순위와 종합 능력지수를 표로 만들면 아래와 같은 표가 나오는데 나의 생각이 크게 반영된 것이니 재미로 한 번 보자!!
빨간색 칠한 선수들의 상금순위와 종합 능력 지수의 괴리율이 좀 큰 것을 볼 수 있다. (10위 이상 차이 나는 선수가 4명이다)
아래의 표는 내가 생각하는대로 우선 벙커샷 순위를 종합능력 지수에서 제외했을 때 상금 VS 종합능력지수 순위와의 관계 표이다.
이가영 프로는 어느 정도 싱크로율을 보이는데 박민지, 최민경, 김재희 프로는 아직 괴리율이 있다. (10위 이상 차이나는 선수가 2명이다.)
아래의 표는 이글순위를 제외하고 리커버리율 순위를 넣었을 때의 상금순위 VS 종합능력 지수이다.
공식 종합능력 지수 합산보다 괴리율이 덜해 보인다. 이정도로 보정 했는대도 종합능력 지수가 27위인 전예성 프로가 상금순위 8위, 30위인 김재희 프로가 18위를 차지하는 것을 보면 두 선수는 아주 많이 연습을 해왔고, 기량이 24시즌에 쫙 올라왔다고 봐야할 것이다.
KLPGA 프로 골퍼 스탯을 알아보자 I (히팅능력지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