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노그램 풀 때, 시간단축을 위한 팁~
- 노노그램(=네모네모로직)/노노그램(흑백)
- 2025. 5. 25.
10x10이나 15x15 등의 노노그램을 할 때는 보조선을 많이 그어도 좋지만~ 그리드 숫자가 25x25, 30x30을 넘게 되면 보조선을 긋다가 교차점이 없는 경우도 있고, 많이 긋다보면 은근히 시간을 많이 잡아 먹게 된다.
별거는 없지만 최대한 노노그램 풀 때, 시간 단축을 위한 팁을 알아보도록 하겠다.
1. 이중 가정법을 적용할 때, 작은 숫자들 생략
보통 이중 가정법을 위한 보조선을 그을 때, 아래와 같이 모든 숫자를 그을텐데~
이제 작은 숫자는 생략하고 아래와 같이 좀 간소화 시키자~
2. 숫자가 겹칠 때, 첫 교차점에서 남는 숫자가 다른 숫자에도 동일한 영향(남는 숫자)을 미친다.
위의 움짤처럼 숫자가 크면 교집합이 많아 지는데, 보통 위와 같이 모든 선을 그은 후 겹치는 점을 칠하게 되는데..
박스를 마킹하고 남는 화살표의 꼬리를 보면 아래처럼 동일한 숫자가 남는 것을 알 수 있다.
화살표 위의 점은 마음속에서 세는 점이다. 실전에서는 아래와 같이 되겠다.
꼬리 숫자보다 작은 칸은 교차점이 없다.
즉, 남는 꼬리가 3칸인데 2칸 이하의 보조선에는 겸치는 점이 없게 되는 것이다.
일단, 위의 2가지 방법을 적용하면 아래처럼 되겠다.
3. 그리드가 커질 수록 상하>좌우>상하>좌우 순서로 2~3사이클 정도 훑어보자!
보통 작은 그리드의 판에서는 눈에 띄는 거 먼저 풀게 되는데, 그리드가 커져감에 따라 초반 밑작업인 이중가정법이 더 중요한 거 같다. 놓치지 않기 위해서 초반에는 2~3사이클 정도 상하>좌우순으로 풀어나가도록 하자..
1사이클에 28행을 보다가 갑자기 15열 30열 이렇게 가지 말자는 소리다.
별거 아닌 거 같은데, 초반에 왔다갔다 하면 놓치는 게 생기더라~
그리고 긴가민가하면 일단 보조선을 긋자. 교차점이 없더라도 말이다~ 놓치는 거 보다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4. 초반에 2중가정법을 적용하고 나면 이제 국지전이다. 숫자가 1이 아닌 이상 거의 찾은 박스와 연결되는 경향이 크다. 즉 변화가 있는 곳에 답이 있다는 말이다.
5. 확신이 없다면 틀리다고 생각하자.
계속 보는 판은 30x30=900개의 칸이 있는데 무리한 추론을 하다가 틀리는 것 보다는 애매하다는 생각이 들면 틀리다는 생각으로 다른 곳을 찾아 보자. 물론 2~3회 상하좌우 스캔을 했는데도 답이 안보인다면 추론을 해야겠지만~
6. 추론을 해야할 때는 가장 작은 교집합을 취한다~
추론을 하면 2~3가지의 경우의 수가 나오는데 이때, 겹치는 부분 중 가장 최소값을 갖는 경우의 수 또는 3개 이상의 경우라면 이중 가정법처럼 무조건 겹치는 부분을 찾아서 신중하게 마킹하자!
사실 빨리 깨고 싶은 마음에 자꾸 최대한의 가능성에 손이 가게 되더라~
7. 행과 열의 칸을 지시해주는 가이드를 사용하자! 실제 종이로 풀 때, 자를 사용하듯이 앱에 있는 룰러를 가이드로 사용하자. 세상 편하다.
8. 다음 크기로 넘어가면 생각보다 어려워진다. 15x15 > 20x20> 25x25..... 로 넘어가면 초반 3~5게임은 적응 차원에서 X표시가 자동으로 되는 기능을 사용하길 권한다.
나만 그런지 모르겠지만~ 20x20만 즐기다가 위에서 살펴본 30x30을 그것도 매우 어려워서 한 10번은 도전한 거 같다. 문제는 어디서 부터 틀렸는지도 모르게 ㅜㅜ 10번 도전하다가 혈압이 쫘압~ 하고 올라갔다. 물론 이것도 재미라면 재미겠지만~ 그래도 다음 크기에서 좀 적응하는 것을 권한다.
추가 1. 어렵다고 예상되는 판은 처음에 그은 이중가정법 화살표를 남겨두고 써 먹자. (물론 기억하는 게 제일 좋다??구나~지만. 나는 힘들다.)
보통 위와 같이 초반에 이중가정법 때문에 보조선을 많이 그은 후에 행 > 열 또는 열 > 행으로 바뀔 때 다 지울 것이다. 그런데 말입니다. 행>열, 열>행으로 바뀌면 반드시 보조선과 교차하게 되는데 이것을 써먹자...
위의 움짤처럼 열에는 6줄의 이중가정법이 적용되는데 반해, 행에서는 13열만 확정되는 박스가 나오는데, 그 후에 3열, 11열을 보면 초반에 그은 보조선이 X표시에 의해 구획되면서 확정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만약에 보조선을 지웠다면 다시 숫자를 세면서 봐야 한다.
추가2. X표시가 추가된 행과 열 먼저 우선순위로 두자!
이건 다들 잘하고 있을텐데,
X표시가 추가된 행 또는 열에 있는 확정된 박스를 우선순위로 보자. 양이 많을 수록 확정할 수 있는 박스가 늘어난다. 추가로 크로스 되는 부분에 박스확정이 따라오기도 한다.
또한 갈무리로 추가된 X표시 너머로 필요없는 부분에 X표시도 확실히 하자!
노노그램 막혔을 때, 요긴히 써 먹는 '귀류법'
숫자를 따라 노노그램을 풀다 보면 후반부에 막혀서 포기하는 경우가 가끔 있을 것이다.숫자로만 노노그램이 풀리지 않을 때는 참이라는 가정하에 모순을 찾아내어 참이라고 가정한 부분에 X표
inoks.tistory.com
음. 몇일전에 컬러 노노그램을 영접했는데...
멈출 수가 없드아!!
움짤로 익히는 컬러 노노그램만의 규칙
이번 글에서는 최근에 푹 빠져 버린 컬러 노노그래(=#네모네모로직)에 대해 알아 보도록 하겠다. 이 글을 찾아 들어온 인원은 대부분 흑백 노노그램의 규칙은 알고 있을 거라고 생각하므로 모노
inoks.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