움짤로 보는 드라이버 슬라이스 나는 이유 (토우 타격)
- 골프연습/스윙 및 샷
- 2025. 5. 27.
골프 클럽에는 MOI라는 관용성이라는 단어가 있다. 오타를 보정해 준다는 것은 아는데, 대체 어느 정도인지는 막역해서 자료를 찾아 봤다. 아래 움짤은 테일러 메이드에서 고속촬영한 드라이버 임팩트 시 중심에서 토우쪽으로 볼 한개 정도 치우쳐서 쳤을 때, 드라이버가 밀리는 모습을 담은 영상이다. (땡큐 테이러~씨)
슬로우 모션이라 잘 보이겠지만 볼이 맞는 순간과 밀리는 장면만 따로 편집을 해 보겠다.
테일러 메이드 마크만
집중해서 보면 토우 부분으로 드라이버 임팩트 시 헤드가 얼마나 많이 돌아가는지 느낄 수 있을 것이다. 토우 부분이 밀린다는 것은 페이스가 열려 맞는 효과가 생기는 것이고, 2도 이하로 열리면 페이드성 구질, 2도를 초과하는 오픈 페이스부터는 슬라이스가 발생한다고 보면 되겠다~
필드에서 갑자기 심한 슬라이스가 난다면 여러가지 경우의 수가 있겠지만...
일단은 볼과 좀 더 가깝게 서자.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볼 1개~1.5개 정도 가까이 서자. 그러면 방향성은 우측으로 가게 되겠지만 슬라이스는 많이 줄어들 것이다. 물론 추후에 슬라이스 원인을 보정해야겠지만~ 대부분 볼과 멀어졌거나, 다운스윙시 어깨가 심하게 돌아서 덮어치는 스윙을 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음~ 그럼 반대의 경우도 생각할 수 있겠다. 드라이버 헤드 페이스 중앙에서 오른쪽, 즉 힐쪽으로 임팩트하면 힐이 밀리고 토우가 앞으로 빨리 회전하면서 드로우 또는 훅성 구질을 만들어 내니까~ 볼보다 좀 더 멀리 서면 되겠다. 아마추어 골퍼 중에서는 심한 인 투 아웃 스윙으로 인한 훅은 없을거라?고 추측해 본다.
아래는 테일러 메이드에서 주장(?) 하는 MOI를 10K로 맞춘 드라이버로 토우 임팩트 시 보정해주는 관용성을 찍었다고 하는데....
일단... 눈으로 보이는 것은 헤드의 밀리는 정도가 확연히 줄어드는 것을 알 수 있으나...
샤프트가 다르기 때문에 액면 그대로 믿기는 힘들 거 같지만~
USGA에서 드라이버 헤드 반발계수를 0.83 이하로 (1M 높이에서 골프공을 헤드 페이스로 자유낙하 시켰을 때 튕겨 오르는 높이가 83Cm를 넘으면 안 된다.) 정해놨기 때문에...
현재는 획기적인 드라이버 비거리를 늘릴 수는 없고, 각 메이커에서 정타를 못 쳤을 때 보정해 주는 관용성에 집중하는 경향은 있고 분명히 잘 못 쳤을 때, 직진성을 보정해 주는 기술은 있다.
그렇지만 MOI가 높은 클럽으로 보정해봐야... 라운드 때마다 달라지는 것은 당연한 사실이고...
일단 위의 헤드 밀리는 움짤을 머리속에 잘 새기고~ 슬라이스= 볼과 가까이 선다~ 를 잘 기억하길 권한다.